"中 저가 전기버스 막아라"…삼성 등 수소버스 도입 확대

김형규 2024. 5. 26. 18: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 SK,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주요 그룹이 수소버스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1회 충전으로 635㎞를 주행하는 등 전기버스보다 효율이 높아 장거리 통근용에 적합해서다.

현대차와 협력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통근용 수소버스 수를 늘리고 향후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확대하는 것이 SK E&S의 목표다.

26일 SK그룹에 따르면 SK실트론이 경북 구미공장에서 운영 중인 통근버스를 수소버스로 대체하기로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 E&S는 충전소 전국 확대
수소 생태계 구축 '첫단추'

삼성, SK,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주요 그룹이 수소버스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1회 충전으로 635㎞를 주행하는 등 전기버스보다 효율이 높아 장거리 통근용에 적합해서다. 수소 생태계 구축이라는 측면을 감안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버스 등 수소 모빌리티 확대는 전체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첫 번째 단추로 꼽힌다.

수소버스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SK그룹이다. SK E&S는 최근 인천에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플랜트(연 3만t)를 준공하고 곧 액화수소 충전소를 전국 2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현대차와 협력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통근용 수소버스 수를 늘리고 향후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확대하는 것이 SK E&S의 목표다.

26일 SK그룹에 따르면 SK실트론이 경북 구미공장에서 운영 중인 통근버스를 수소버스로 대체하기로 했다. 상반기 시범 운행 후 추가 배치도 검토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이달 초 현대차 수소버스인 유니버스 세 대를 통근용으로 도입했다. 삼성전자도 지난 22일 유니버스 두 대를 경기 평택캠퍼스 통근용으로 투입했고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현대차는 전북 전주공장의 수소 통근버스를 세 대에서 여덟 대로 확대하고 연내 10대를 추가로 들일 방침이다. 포스코와 포스코이앤씨도 통근용 수소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들이 기존 디젤버스의 대안으로 수소버스를 늘리는 이유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방침에 따라서다. 가장 강력한 탈탄소 규제 원칙인 스코프3엔 직원 출퇴근, 출장, 유통, 배송에 따른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도 포함돼 있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수소 모빌리티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다.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2040년까지 약 300만 대의 수소연료전기차(FCEV)를 도로 위에 운행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과 화물차 등에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하겠다는 것인데 최근 중국산 저가 전기버스의 공세로 이 같은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올해 1분기 신규 등록된 전기버스 중 43.7%가 중국산으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들은 한국 배터리보다 20%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국 버스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에 비해 중국산 수소차는 글로벌 점유율 1% 미만으로 아직 시장 침투율이 낮다.

유니버스의 실제 구매 가격(출고가에서 보조금, 세제 혜택 등을 뺀 금액)은 약 2억원으로 국산 전기버스인 일렉시티(약 1억5000만원)보다 비싸지만 연료 효율이 높고 차체가 높아 적재량이 많아 중국산 전기버스의 대안이 되기에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