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보유 주택·땅, 이주단지로 활용가능"

서진우 기자(jwsuh@mk.co.kr) 2024. 5. 26. 18: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기 신도시 5곳이 모두 경기도인 만큼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이 지역에 대한 정비지원기구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지금은 아파트 거주자들이 제일 잘사는 사람들인데 이들에게만 재건축 혜택을 부여하고 1기 신도시 내 다가구 주택을 방치해서는 곤란하다.

특히 1기 신도시와 그 주변에 GH가 보유한 임대주택 등을 이주 단지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세용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
1기신도시 재건축 단지 조성땐
1인가구·시니어특화주택 필요
UAM·GTX 접근성도 고려를

◆ 1기 신도시에 바란다 ◆

1기 신도시 5곳이 모두 경기도인 만큼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이 지역에 대한 정비지원기구 역할을 하게 된다. 김세용 GH 사장(사진)은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5개 도시별 자족 기능을 강화하고 이주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데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김 사장과의 일문일답.

―바람직한 1기 신도시 정비 방향은.

▷현재 1·2인 가구 비중이 70%를 넘어섰고 아이 없이 맞벌이하는 부부나 고령자가 1기 신도시에 많이 산다. 이 지역을 재정비할 때는 이러한 흐름을 잘 고려해야 한다. 1인 가구 특화 주택이나 시니어 주택 모델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1기 신도시 재정비에는 생애 주기별 타기팅이 중요하다.

―선도지구 지정이 초미의 관심사다.

▷선도지구 선정 조건으로 주민 동의율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됐는데 기존 용적률이 낮은 곳은 주민 동의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향후 지정 과정에서는 다른 요소도 많이 반영돼야 한다. 차량은 더욱 늘어날 테니 도심항공교통(UAM) 기반시설을 갖출 수 있는 곳이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 주목하고 쇼핑시설 확대 배치와 자율주행차 도입 등도 따져봐야 한다.

아울러 지금은 아파트 거주자들이 제일 잘사는 사람들인데 이들에게만 재건축 혜택을 부여하고 1기 신도시 내 다가구 주택을 방치해서는 곤란하다. 공공이 나서서 공간의 양극화, 소득의 양극화를 부추겨서는 안 된다.

―기존 주민들의 이주 단지 문제가 중요하다.

▷대규모 이주 수요를 분산하고 주변 지역 부동산시장을 안정화하려면 이주대책 마련은 필수적이다. 1기 신도시 주변에 3기 신도시가 완공되면 그곳을 이주 단지로 쓸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산에서는 고양 창릉이 이주 단지가 되는 식이다.

특히 1기 신도시와 그 주변에 GH가 보유한 임대주택 등을 이주 단지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공공임대 주택은 소득·자산 등 자격 요건이 있으나 공공주택특별법에 따르면 임시적으로 사용할 때는 GH가 별도로 입주민을 정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아울러 우리가 보유한 1기 신도시 내외부 가용지도 검토하겠다. 그린벨트 해제는 어렵기 때문에 근린공원에 이주 단지를 짓고 다른 곳에 공원을 조성해주는 순환 재건축도 필요하다.

GH가 경기 용인시에 모듈러 주택을 만들었는데 입주민 만족도가 높다. 이주 용도로 우리가 모듈러 주택을 많이 지을 수도 있다. 향후 선도지구 공모 결과에 따라 GH는 총괄 사업관리자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공공시행자 참여 추진 등 사업시행 단계에서도 적극 개입할 방침이다.

―GH의 역할 차별화는.

▷30년마다 재정비 논의가 반복돼서는 곤란하다. 앞으로는 한번 마련한 신도시를 지속가능하게끔 만들어가야 한다. 기획부터 조성,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쭉 관리해주는 '타운 매니지먼트' 개념을 적용할 것이다. 상수도 등 기반시설 수용량을 고려한 도시별 적정 개발 밀도를 도출하고 경기도형 특별정비구역 모델도 도시 유형마다 제안할 방침이다. 주민끼리 원활히 소통하고 모든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에이징 인 커뮤니티(AIC)' 도시를 조성하는 데 힘쓰겠다. 오는 8월까지 경기도형 정비전략을 다듬어 1기 신도시 자치단체의 정비 기본계획 수립을 돕겠다.

[서진우 기자 / 사진 이승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