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영화제 폐막…황금종려상에 숀 베이커 감독 ‘아노라’

신영은 스타투데이 기자(shinye@mk.co.kr) 2024. 5. 26. 16: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숀 베이커 감독의 미국 영화 '아노라(Anora)'에게 칸국제영화제의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이 돌아갔다.

'탠저린'(2015)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베이커 감독은 '플로리다 프로젝트'(2017)로 칸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됐고 이후 '레드 로켓'(2021)으로는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자크 오디아르 감독의 '에밀리아 페레스'는 칸 영화제에서 2개의 트로피의 주인공이 됐다.

올해 칸영화제를 빛낸 한국 영화는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초청된 '베테랑2'(감독 류승완)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77회 칸영화제에서 영화 ‘아노라’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션 베이커 감독. 사진ㅣAFP 연합뉴스
숀 베이커 감독의 미국 영화 ‘아노라(Anora)’에게 칸국제영화제의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이 돌아갔다.

25일(현지시각)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7회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심사위원장 그레타 거윅은 올해의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으로 미국 영화 ‘아노라’를 낙점했다고 밝혔다.

베이커 감독은 “지금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모르겠다”면서 “이 상을 모든 성매매업 종사자에게 바친다”고 말했다.

‘아노라’는 러시아 갑부와 결혼한 젊은 여성 스트리퍼가 시부모로부터 동화 같은 결혼 생활을 위협당하기 시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아노라’는 전 세계 영화 매체가 매긴 평점을 바탕으로 산정하는 스크린데일리 별점에서 최고점에 가까운 3.3점을 받는 등 프리미어 상영 이후 호평을 끌어냈다.

‘탠저린’(2015)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베이커 감독은 ‘플로리다 프로젝트’(2017)로 칸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됐고 이후 ‘레드 로켓’(2021)으로는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2등 상인 심사위원대상은 인도의 여성 감독 파얄 카파디아가 연출한 ‘올 위 이매진 애즈 라이트(All We Imagine as Light)’가 가져갔다. 뭄바이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두 여성이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다.

자크 오디아르 감독의 ‘에밀리아 페레스’는 칸 영화제에서 2개의 트로피의 주인공이 됐다. 심사위원상과 여우주연상(아드리안나 파즈,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셀레나 고메즈, 조이 살다나 공동 수상)을 거머쥐었다.

감독상은 ‘그랜드 투어’를 연출한 미겔 고메스가, 각본상은 ‘더 서브스턴스’ 시나리오를 쓴 코랄리 파르자가 각각 받았다.

올해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콘텐츠를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올해 칸영화제를 빛낸 한국 영화는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초청된 ‘베테랑2’(감독 류승완)뿐이었다. 배우 황정민, 정해인과 류승완 감독이 현지 영화제에 참석했다. 상영 후 10분 동안 기립박수를 받았다.

<다음은 제77회 칸영화제 수상작(자) 명단>

▲ 황금종려상 = 아노라(숀 베이커 감독, 미국)

▲ 심사위원대상 = 올 위 이매진 애즈 라이트(파얄 카파디아 감독, 인도)

▲ 심사위원상 = 에밀리아 페레스(자크 오디아르 감독, 프랑스)

▲ 감독상 = 미겔 고메스(‘그랜드 투어’, 포르투갈)

▲ 각본상 = 코랄리 파르자(‘더 서브스턴스’, 미국)

▲ 남우주연상 = 제시 플레먼스(‘카인즈 오브 카인드니스’, 아일랜드)

▲ 여우주연상 = 아드리안나 파즈,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셀레나 고메즈, 조이 살다나(‘에밀리아 페레스’, 미국)

▲ 단편 황금종려상 = 더 맨 후 쿠드 낫 리메인 사일런트(네보이사 슬리예프세빅 감독, 크로아티아)

▲ 황금카메라상 = 아르망(핼프댄 울만 퇸델 감독, 노르웨이)

▲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 = 블랙 도그(관후 감독, 중국)

▲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상 = 더 스토리 오브 술레만(보리스 로즈킨 감독, 프랑스)

▲ 주목할 만한 시선 감독상 = 더 댐드(로베르토 미네르비니 감독, 이탈리아), 온 비커밍 어 기니 파울(룬가노 니오니 감독, 아일랜드)

▲ 명예 황금종려상 = 배우 메릴 스트리프, 조지 루카스 감독, 스튜디오 지브리

▲ 특별 각본상 = 모하마드 라술로프(‘더 시드 오브 더 새크리드 피그’, 이란)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