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고점 95% 회복...강남·서초·용산은 종전 최고가 수준

이준우 기자 2024. 5. 26. 13: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분석 결과

서울 강남구·서초구·용산구 아파트 시세가 종전 최고가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체 아파트의 매매가도 전고점의 95%까지 도달해 부동산 값 상승세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뉴시스

26일 부동산R114가 서울에 있는 아파트 116만가구를 표본으로 가구당 평균 가격(호가와 시세, 지역별 평균 등을 반영해 산정)을 분석한 결과, 지난 17일 기준 서울 강남구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25억8135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고점이었던 2021년 26억949만원의 99% 수준까지 가격이 회복된 것이다. 용산구 역시 18억6643만원으로 전고점(2022년, 18억8432만원)의 99% 수준까지 가격이 올랐다. 서초구는 27억7147만원으로 전고점(2022년, 28억3111만원)의 98%까지 회복됐다.

이밖에 영등포구(12억9506만원)와 양천구(13억6276만원)도 각각 전고점의 97% 수준까지 회복되는 등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 중 19곳이 전고점의 90%까지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체 평균 아파트 가격은 12억9921만원으로 전고점(2021년, 13억7147만원)의 95% 수준이다.

반면 중구(89%), 강동구(88%), 노원구(87%), 강북구(87%), 관악구(86%), 도봉구(85%) 등은 상대적으로 가격 회복이 느린 상황이다.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이 가격 회복이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1, 2차 아파트 196㎡는 지난달 15일 89억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우기도 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고가 지역이 먼저 치고 나가고, 나머지 지역이 따라가는 추세”라며 “가격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딘 지역들도 결국 가격이 상승해 키 맞추기 현상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