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캐피탈사 유동성 확보 `빨간불`…신용등급 전망 줄하향

임성원 2024. 5. 26.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형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확보에 대한 우려가 지속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조달 환경이 악화했고, 건전성 저하 위험이 부각되면서 일부 캐피탈사의 신용등급 전망이 줄하향했다.

다만, 매각 이슈와 함께 최근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전망을 하향하면서 유동성 관련 우려가 지속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PF 비중이 높은 캐피탈사를 중심으로 재무 안정성 우려가 커지면서 'A급' 이하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문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PF 여파로 조달 환경 악화
금융당국 "유동성 우려에 모니터링 지속"
M캐피탈. <사진=연합뉴스>

중소형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확보에 대한 우려가 지속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조달 환경이 악화했고, 건전성 저하 위험이 부각되면서 일부 캐피탈사의 신용등급 전망이 줄하향했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신용등급 'A0' 이하 캐피탈사 11곳(M·농심·DB·무림·애큐온·오릭스·오케이·키움·한국·한국투자·롯데오토리스) 채권 중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PF 우려로 저등급 캐피탈채에 대한 수요가 축소되면서 차환 과정에서 금리 상승 부담이 커졌다. 특히 'A급' 이하 캐피탈사는 시장 조달이 어려워 자산 매각 등으로 외형을 축소하거나 담보 제공 차입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올해 들어 'A+' 등급 이상 캐피탈사 채권은 2800억원 순발행됐지만, 'A0' 이하 캐피탈사는 발행량이 6900억원 순감했다.

10위권 캐피탈사인 M캐피탈의 경우 이달부터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이 8425억원으로, 당장 이달 말에도 1500억원의 채권을 차환해야 한다.

M캐피탈은 이달 메리츠증권으로부터 투자자산을 담보로 3000억원을 대출받기로 해 당장은 유동성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매각 이슈와 함께 최근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전망을 하향하면서 유동성 관련 우려가 지속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23일 M캐피탈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했다. 나이스신용평가도 24일 자산건전성 저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 등을 이유로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앞서 지난해 말 한신평은 오케이캐피탈의 신용등급에 대해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로, DB캐피탈의 신용등급은 'BBB0(긍정적)'에서 'BBB0(안정적)'로 하향한 바 있다. 한국기업평가도 A캐피탈의 기업어음 및 전자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낮췄다.

채권시장에서는 캐피탈사의 신용등급이 떨어질 경우 차환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최근 부동산 PF 비중이 높은 캐피탈사를 중심으로 재무 안정성 우려가 커지면서 'A급' 이하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문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로 'A급' 이하 캐피탈사 중 유동성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해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캐피탈 연체율도 오르는 추세이지만 연체채권의 60%가 상위 캐피탈사 물량이어서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