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수난시대! 이대로 엎어진 게 아니라는 설명 여기 있습니다[문제는경제야바보야]

CBS노컷뉴스 윤지나 기자 2024. 5. 26. 10: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 주목요일 오후 2시, CBS 유튜브 채널 'CBS 2시라이브'에서는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_고수열쩐'이 방송됩니다.

정치사회 현안과 국제 이슈까지 제일 뜨거운 사안을 두고 각 분야 고수들이 경제적 시선으로 열전을 벌입니다.

해당 녹취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수열쩐' 23일 방송 내용 일부로, 전체 내용은 유튜브채널 'CBS 2시라이브'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
목요일 오후 2시, CBS 유튜브 채널 'CBS 2시라이브'에서는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_고수열쩐'이 방송됩니다. 정치사회 현안과 국제 이슈까지 제일 뜨거운 사안을 두고 각 분야 고수들이 경제적 시선으로 열전을 벌입니다. 해당 녹취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수열쩐' 23일 방송 내용 일부로, 전체 내용은 유튜브채널 'CBS 2시라이브'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채널 'CBS 2시라이브'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 진행 : 김광석 한양대 교수
■ 대담 : 김지훈 훈훈한주식 대표, 이형수 HSL파트너스 대표

시들한 2차전지, 전기차 매력이 떨어졌다고? 천만에! 


▶김광석> 전기차 시장 규모가 늘어나기만 하다가 1분기 감소했죠. 이런 것들이 전기차 캐즘 현상을 보여주는 듯해요. 이런 현상이 왜 왔다고 혹시 생각하십니까?

▶김지훈> 전기차 시장 자체의 둔화라기보다는 성장률의 둔화라는 표현이 좀 정확히 맞는 것 같습니다. 불과 3년 전만 해도 100% 가까이 성장을 하다가 작년에 성장률이 둔화돼서 대략 36~37% 전체 글로벌 중국 시장 포함 37% 성장률이 나왔고요. 올해 예상되는 성장률이 아주 보수적으로 잡은 데가 17%입니다. 그리고 캐즘에 들어가는 용어는 그 기준점이 15~16%입니다. 전체 전기차 시장 침투율을 글로벌 지역별로 쪼개보면 미국은 아직 10%가 채 안 됩니다. 그러니까 여전히 성장 여력이 많이 남아 있는 거고요, 중국은 이미 31%가 넘었습니다. 유럽 같은 경우도 아직 21% 초반입니다. 엄밀하게 얘기하면 미국은 여기서 최소한 업사이드 3배의 성장 폭이 여력이 남아 있는 거고 유럽은 한 2.5배 정도 성장 여력이 남아 있는 겁니다. 또 전통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강력한 내연기관차 패권을 포기하고 매력적인 신차들을 내놓을 건데요, 그 신차 출시 시기가 다소 좀 지연된 측면이 있어요.

▶이형수> 자동차의 변화라는 건 이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돼야 됩니다. 자동차가 예전으로 치면 피처폰 같은 거거든요. 점점 스마트폰으로 바뀌어야 돼요. 그게 이제 올해부터 레벨3 자율주행차가 채택이 되면 내년부터 되는 거고요. 레벨 2에서 레벨 3로 되면  운전의 주도권이 사람한테 있다가 기계, 디바이스가 주도하는 거예요. 결국은 컴퓨터라이제이션이 되는 겁니다. 이제 자동차가 컴퓨터가 되는 거죠. 이런 식의 모빌리티 혁명은 분명한 방향성이라고 봐요. 자동차가 여기서 좀 더 매력적인 투자처라든지 이런 섹터로 부각이 되려면 이게 컴퓨터로 바뀌는 과정을 봐야 되는데, 예전에 우리 스마트폰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뀔 때 보면 결정적인 차이는 운영체제(OS)의 유무거든요. 사람들이 자동차에 대해 이게 AI가 될 수 있는, AI가 지원되는, 그리고 내가 운전대를 놓을 수 있는 자동차가 되는구나라고 하면 좀 더 매력적인 시장이 될 수 있는 거죠.

'CBS 2시 라이브' 유튜브 캡처


▶김지훈> 영국하고 독일에서 20% 보조금 줄이자마자 판매량이 20% 감소가 됐어요. 보조금을 줄이니까 전기차 수요가 줄었죠. 그런데 전기차 타신 분들의 만족도가 엄청나요. 살 때는 보조금에 의존해서 샀지만 사고 나서의 유지보수 운영 관리 측면에서 내연기관 차량을 뛰어넘는 수준의 그렇죠 만족도가 있는 거죠. 예를 들어 아이오닉6를 모는 택시 기사분 얘기를 들어보면, 이거 거의 1~2년 정도 타면 내가 7~8년치 휘발유 값을 뽑고도 남는다고 얘기할 정도예요. 그리고 언론에서 충전 인프라 너무 잘 안 돼 있다 부정적인 이슈를 얘기하지만, 운전하는 입장에서는 그렇게 불편하지 않다는 거예요. 여기에 배터리 소재의 충전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거든요.

전기차 잘 나가면, 배터리 가격 떨어지면… 우리 기업들 이익 

▶김지훈> 2차 전지 관련된 업체들을 심플하게 보면, 2022년도에 에코프로를 예를 들면 20년도에 600억대 이익에서 2022년에 6,124억의 이익이 났거든요. 그 말은 에코프로 주가가 올랐든 떨어졌든 주가는 배제하고 순수하게 이익 측면 10배가 증가한 겁니다. 그러면 그게 기계적으로 영업이익이 10배 늘어났으니까 주가가 10배 가야지 이건 아니지만 약간의 시차를 두고 23년 상반기 중반부터 10배 이상 시세차익 주가 상승이 나온 거죠. 주가는 심플하게 보면 이익의 함수인데, 그 이익의 기대치를 못 따라오니까 주가가 상당 부분 빠진 측면이 있고 실제 올해 예상되는 거는 에코프로비엠도 그렇고 양극재 업체들이 일단 1분기는 흑자 전환했지만 흑자 전환했지만 연간으로 보면 적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금 예상이 되거든요. 그럼 이 현상이 계속될 거냐와 관련해선, 배터리 가격이 떨어져야 되거든요. 글로벌 탑스 안에는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 3개가 모두 들어갑니다. 그 외에 나머지가 파나소닉하고 CTL 정도인데 이 5개 업체의 기술력이나 기술 진입 장벽을 신규 업체가 넘어오기가 상당히 힘든 거죠. 그래서 국내 업체들이 끝까지 살아남을 경우에는 계속 그 파이를 가져갈 가능성이 높고요. 배터리 가격이 떨어지면 그 시장에 대한 선점 효과는 계속 국내 업체들이 가져갈 수밖에 없다고 봐요.
'CBS 2시 라이브' 유튜브 캡처

 2차 전지는 부진을 딛고 다시 잘 나갈 수 있까? 

▶이형수> AI를 기반으로 한 4가지 요소, CPND라고 하거든요.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제 변화하는 겁니다. 그 혁신의 포인트를 누가 보여줄 거냐, 지금은 어쨌든 테슬라가 제일 유력한 회사이긴 합니다만 테슬라도 지금은 이제 전기차 업체라는 아이덴티티를 조금씩 이제 물을 빼고 있고 이제 자율주행차 회사라는 그리고 AI 회사라는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잖아요. 여기서 뭔가 성공적인 포인트 모델이 나온다 그러면 충분히 이제 이쪽에 대한 재평가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게 결국은 이제 2차 전지 수요하고도 직결돼 있다고 볼 수도 있는 거죠.
'CBS 2시 라이브' 유튜브 캡처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윤지나 기자 jina13@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