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닭 훔치다 그만…'성군' 세종 시대 "총 562명 살인 연루"

김예나 2024. 5. 26. 0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주(淸州) 사람 건지중이와 보은덕은 율(律)에 의하여 능지처사(凌遲處死)하고 내은동도 함께 참형에 처하게 하옵소서."

조선 최고의 '성군'으로 여겨지는 세종이 다스렸던 그 시절, 살인 사건은 얼마나 발생했을까.

26일 박진훈 명지대 사학과 교수가 학술지 '사학연구' 최신호에 실은 '조선 세종대 살인 유형 및 살인범 분석' 연구 논문에 따르면 세종이 재위하던 32년간 살인에 연루된 사람은 562명에 달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진훈 교수, 세종실록 속 살인 행위·살인자-피해자 관계 등 분석
10명 중 3명은 '계획범죄'…"세종, 살인사건 직접 살피고 판결"
동헌 앞 재판 모습을 그린 그림 형정도(刑政圖) 부분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청주(淸州) 사람 건지중이와 보은덕은 율(律)에 의하여 능지처사(凌遲處死)하고 내은동도 함께 참형에 처하게 하옵소서."

1438년 4월 21일 의금부는 세종(재위 1418∼1450)에게 이렇게 아뢴다.

능지처사는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자르는 극형이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몸을 소중히 여기던 그 시절, 대역죄나 패륜을 저지른 이에게 내려진 형벌이었다.

의금부가 고한 내용에 따르면 건지중이라는 인물은 그의 형 신원(申元)의 재산을 빼앗으려고 신원의 딸 보은덕, 이웃 사람 내은동과 공모해 신원을 살해했다.

과거 죄인이 붙잡혀 가는 모습을 담은 그림 형정도(刑政圖) 부분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들은 그 흔적을 없애고자 집에 불을 질지르고 어린아이의 목숨까지 빼앗았다.

재산을 노린 살인에 증거 인멸, 방화까지 모두 실록에 기록된 역사다. 조선 최고의 '성군'으로 여겨지는 세종이 다스렸던 그 시절, 살인 사건은 얼마나 발생했을까.

26일 박진훈 명지대 사학과 교수가 학술지 '사학연구' 최신호에 실은 '조선 세종대 살인 유형 및 살인범 분석' 연구 논문에 따르면 세종이 재위하던 32년간 살인에 연루된 사람은 562명에 달한다.

실록에 기록된 살인죄 또는 살인범 관련 내용을 집계한 수치다.

세종실록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 해 평균으로 따지면 약 17.5명 정도가 살인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교수는 "세종은 살인범에 대한 심문 기록을 직접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처결했다. 만약 조사가 미비하거나 의심이 가면 재조사를 명령했고, 이후 최종 형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살인 사건과 관련한 기록을 분석해 살인 행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살인 사건에 연루된 범죄자 562명 가운데 401명은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돼 있었다. 나머지(161명)는 '살인' 또는 한자 '殺'(죽일 살)로만 기록돼 있었다.

범죄 내용이 확인된 401명 중 계획 살인을 뜻하는 모살(謀殺)은 125명으로 전체의 약 31.2%였다.

보물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세종의 생애와 업적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그의 일대기를 담아 세운 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살인을 저지른 방법도 다양했다.

사람을 때려죽인 구살(毆殺) 혹은 타살(打殺) 사례는 총 110명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칼이나 낫과 같은 날카로운 흉기로 사람을 죽인 경우는 16명이었다.

박 교수는 "전체 살인에서 흉기를 사용한 비중이 약 3∼4%이고, 살인 방법이 기재된 사례에서도 약 9%"라며 "일반인이 평소 흉기에 접근하는 게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귀신에게 빌어 주문이나 저주로 살인을 꾀했다고 기록된 '저주 살인'도 2명 확인됐다.

살인에 이르게 된 계기를 살펴보면 서로 싸우다가 상대를 살해한 투살(鬪殺)과 투구살(鬪毆殺·싸우다가 손발이나 흉기로 때려죽인 것) 범죄자는 총 40명으로 집계됐다.

오늘은 세종대왕 나신날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인 15일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대왕상 주변에 세종대왕기념사업회와 한글단체 관계자들이 세종대왕 나신 날 국가 기념일 제정을 촉구하며 바친 화환들이 놓여 있다. 2024.5.15 uwg806@yna.co.kr

강도 행위를 하다 살인에 이르게 된 경우는 17명이었다.

일례로 세종 13년(1431) 5월 15일 실록 기사는 상주 지역에 살던 권중이·김이동·박군자 등 3명이 이웃집의 닭을 훔쳤다가 주인이 쫓아오자 그를 '살상'(殺傷)했다고 전한다.

박 교수는 "세종 때 살인 사건은 고의성 여부, 살인 방법, 살인의 계기 등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되고 이에 따라 심사됐다"며 "사건에 따라 기재하고 심사하는 기준이 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선 세종대에 발생한 살인 사건과 살인범과 피해자 간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법제사 또는 사회사적인 면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