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in 1968?’ 대학가 가자전쟁 반대시위...베트남전 시절 생각나네[★★글로벌]

문가영 기자(moon31@mk.co.kr) 2024. 5. 25. 1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전 이후 최대 대학가 시위에
바이든 “여러분 목소리 들을 것”

지난달 미국 대학가에서는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민간인 학살 중단을 촉구하고,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 전쟁 중인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것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번졌다.

4월 17일부터 30일 사이 150개 넘는 대학에서 시위가 일면서 2000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체포됐다. 이 같이 전국적인 규모의 대학가 반전시위가 벌어진 것은 베트남 전쟁 당시인 1968년 이후 처음이다.

미국 하버드대 학생들이 23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대에서 열린 졸업식 도중 집단 퇴장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뉴스>
경찰의 강경 진압에도 학생들 사이의 반전여론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하버드대에서는 지난 23일 졸업식 행사 도중 졸업생 수백 명이 집단 퇴장했다. 친팔레스타인 텐트 농성에 참여한 학생 13명에게 졸업장을 주지 않기로 한 대학 측의 결정에 항의하는 차원에서다.

대학가 반전시위가 유럽으로 번지면서 이날 영국 옥스퍼드대에선 웰링턴 스퀘어에 위치한 부총장실에서 농성을 벌이던 친팔레스타인 시위대 16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중동사를 전공한 조엘 베이닌 스탠퍼드대 명예교수는 “베트남 전쟁 이후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 이 같이 의견이 분열된 외교 정책은 처음”이라며 “(이스라엘 관련 정책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전망을 위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닌 교수는 또 대학생 반전시위가 정치인들과 주요 미디어, 유대계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기관들의 도덕적 패닉 상태를 촉발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30일 뉴욕 경찰이 컬럼비아대 해밀턴 홀을 점령한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폭력을 행사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은 이날 점거 농성자 46명을 포함한 시위대 112명을 체포했다. 경찰은 부상자가 없다고 발표했지만 시위대는 체포된 점거 농성자 가운데 최소 9명이 안와골절과 뇌진탕, 발목 접질림 등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한 경찰관은 시위대 해산 과정에서 해밀턴 홀 내에서 총을 발포하기도 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밤 시위대가 점령한 컬럼비아대 해밀턴 홀에 진입하는 뉴욕경찰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월남전에서 남베트남을 지원해오던 미국은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참전을 선언한 뒤 지상·공중·해상 작전에 군을 투입한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미군 사망자가 늘자 반전 여론이 조성되며 대학가를 중심으로 반전 평화시위가 전개되기 시작한다. 당시 사회주의 계열 학생운동 단체 민주사회학생회(SDS)가 미국의 제국주의에 반대한다는 기치로 전국적인 반전시위를 이끈다.

대선을 앞두고 1968년 8월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 집회에서 극에 달한 반전 여론이 폭발한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면서 부상자가 속출했다.

이날 충돌로 시위대 100명과 경찰 119명이 부상을 입었고, 600명의 시위대가 체포된다. 특히 경찰은 시위대를 강경 진압하며 군중들, 기자 등에게도 폭력을 행사했다. 거리 곳곳에서 최루탄이 터졌고 경찰이 시위대를 강제로 끌고 가거나 유리창 너머로 밀치고 폭행하는 모습이 텔레비전에 생중계됐다. 이에 인기를 잃은 린든 존슨 당시 미국 대통령은 1968년 재선 포기를 선언했고 이듬해 임기 종료와 함께 퇴임했다.

대선을 앞두고 전국적으로 대학가 반전 시위가 번지면서 올해 재선을 노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역시 주춤하는 모양새다.

19일(현지시간) 조지아주 모어하우스대에서 졸업식 축사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FP 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9일 흑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서 킹 주니어 목사의 모교인 조지아주 모어하우스대를 찾아 “평화로운 비폭력 시위를 지지한다”며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을 것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달 초 이스라엘의 라파 지상전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이스라엘에 지원하기로 했던 폭탄 1회분의 선적을 중단하기도 했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버몬트)은 이달 초 CNN 인터뷰에서 “중동의 상황은 바이든의 베트남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샌더스 의원은 이어 “이스라엘과 이번 전쟁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입장 때문에 젊은층 뿐 아니라 많은 민주당 지지층이 떠날 것이 우려된다”며 “네타냐후 총리에게 백지수표를 날리는 것은 도덕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