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 '두 도시의 이주자'들 전시회열어

박수현 기자 2024. 5. 25. 10: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 버나디노(California Sate University, San Bernadino),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와 함께 '두 도시의 이주자들' 전시회를 경성대학교 제1미술관에서 5월26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부산과 캘리포니아 의 공통분모인 이주민들의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찾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 버나디노(California Sate University, San Bernadino),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와 함께 ‘두 도시의 이주자들’ 전시회를 경성대학교 제1미술관에서 5월26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부산과 캘리포니아 의 공통분모인 이주민들의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찾고 있다. 19세기 골드러시 시대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이주민들이 모이며 다문화 사회를 형성한 미국의 캘리포니아와 한국전쟁 이후 메가 도시로 성장한 부산은 다르지만 닮았다. 전시는 ‘이주’라는 키워드를 통해 두도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다양한 방식의 작품으로 표현하고 있다.

샌 버나디노 대학 작가들은 미국에 뿌리내린 개개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스스로 탐구하고 시각적 그래픽을 활용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경성대학교 작가들은 부산으로 이주해온 다양한 집단 예를 들면 우암동 아미동에 정착한 전쟁 피난민 마을, 반여동 지역의 철거 이주민, 다문화가정, 제주 해녀 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다양한 예술적 형식을 차용해 이야기를 풀어낸다.

전시를 공동기획한 글로컬문화학부 김주현 교수는 “인류는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끊임 없이 이주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동과 이주는 변화를 통해 ‘생존과 진화’를 원하는 이들의 원초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고 이야기하며, 우리는 어디에서 이주해왔으며, 지금 이 순간 어디로 이주하고 있는지 물음을 던진다. 이번 전시는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의 ‘2024년 국가무형유산 공동체 종목 대학 연계 지원사업’의 후원을 받았다.

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 버나디노(California Sate University, San Bernadino),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와 함께 ‘두 도시의 이주자들’ 전시회를 경성대학교 제1미술관에서 5월26일까지 진행한다.


<전시참여작가>

*경성대학교

김건우, 김기영, 김귀영, 김다희, 김민선, 김소현, 김유정, 김예림, 김예진, 김준호, 남유정, 박민진, 박소이, 박소정, 변성빈, 서희주, 유예진, 이승민, 이여진, 이영경, 이유은, 이은서, 이은진, 이현지, 정예은, 조은수, 진소담, 최우영, 최윤우, 최한별, 황세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 버나디노(California Sate University, San Bernadino)

Ain Ma, Alyssa Canderio, An Nguyen, Christopher Xavier, Elizabeth del Rio, Jim Castillo, Karla Altamirano, Kimberly Lievano, Madeline Ochoa, Marco Antonio Jimenez, Marina Morgan Ibarhim, Minji Cho, Navid Zekria, Roberto Ceja, Roberto Davila, Rosalena Lopez, Stephanie Grace Kelly, Vanessa Perez Jimenez, Vanessa Ramirez, Vicki Har

* 김준호, 김민선, 김건우, 박민진 작품 “항해, 부산을 향해” - 제주 해녀의 부산 이주를 ‘이동’을 중심으로 작품을 제작했다. 한반도의 해녀문화는 제주 해녀들의 이주에서 비롯되었으며, 제주 해녀가 처음으로 육지에 진출해 물질한 곳이 바로 부산 영도였다. 작품은 제주 해녀의 부산 이주, 정착과 관련된 소품을 배치하고 있다.
* 남유정, 이영경, 이은서 작품 “벽花” -해외 이주민들이 겪고 있는 소통의 벽, 문화의 벽, 언어의 벽, 이해의 벽 등 다양한 종류의 ‘벽’을 몸소 체험하며 ‘다름’과 ‘낯섦’을 인정하자는 의미에서 해외 이주민들과 부산 사람들간의 장벽을 각 국가의 국화로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 김유정, 김다희, 이여진, 박소이 작품 “어떤여자”- 작품은 해녀가 아닌 그저 한사람으로써 그녀들의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고 있다. 해녀복을 입었을 때의 강인함, 카리스마, 자부심에 대하 느낌과 일상복에서의 친근함과 따뜻함을 감성적으로 사진에 담아냈다.
* 이은진, 이유은, 조은수 작품 “지금은 ( ) 없다”작가들은 한국전쟁이후 피란민들이 부산에 정착한데 착안 “피란수도 부산”의 흔적을 찾아 나섰다. 하지만 작가들이 직접 다녀 본 부산의 피란 마을들은 예상과 달랐다. 작가들은 사라져가고 있는 흔적을 보며 이곳이 피란수도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점을 작품속에 녹여내고 있다.


* 김건우, 박민진, 박소정, 조은수, 최한별 작품 “희망의 바다 ; 해녀이야기” - 작품은 페이크 인터뷰 형식 영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해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품에는 물질 경력 60년 베테랑 해녀 춘희, 제 2의 삶을 살아가는 MZ 해녀 영서, 2048년 미래에서 온 해녀 이담이 등장한다. 작가들은 현재 해녀가 처한 상황과 환경을 보여주고, 사람들의 관심을 통해 해녀 문화가 지속될 수 있기를 응원하고 있다.
* Ain Ma Minji Cho 작품- 한국 고유의 “태몽을 주제로 그림을 묘사하고 있다. 태몽은 민간신앙에서 비롯된 꿈을 말하며, 출산시 나타나는 징조를 상징한다. 작가는 한국 전통 양식으로 그려진 개별 태몽을 나타내기 위해 복숭아와 금붕어를 작품의 소재로 선택했다.


* Elizabeth del Rio 작품- 고향인 멕시코의 풍부한 요리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유학기간 동안 요리법 재현에 노력하고 있는 작가의 일상의 모습을 작품을 통해 재현해내고 있다.
* Navid Zekria 작품- 작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난 부모님의 영향으로 이슬람 문화에서 기도하는 장소인 모스크에 매료되고 있다. 작가는 음식은 사람의 문화를 이해하는 수단이라 주장하며 구운 토마토와 아프가니스탄의 인기있는 음식인 쌀과 함께 케밥을 묘사하며 가족 정체성을 공유하기 위해 스스로를 아기이자 아버지의 이미지로 묘사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