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넘어 비서 역할"…어디까지 진화할까[AI가전이 뜬다③]

이지용 기자 2024. 5. 25. 1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인공지능(AI) 가전이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며 AI 가전이 향후 어디까지 진화할 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가사활동 제로'를 AI 가전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이에 맞춰 제품 및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AI 가전의 핵심을 '자동화'와 '개인화'에 맞추고 있다"며 "AI 가전은 단순 가사를 넘어 사용자 일상을 관리하는 비서 역할까지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 '가사 제로'가 AI가전 지향점
AI 가전과 일상 대화·감정 공유까지
"단순 가사 넘어 비서 역할도 수행"
[수원=뉴시스]삼성전자 직원이 14일 수원사업장 디지털시티에 위치한 CX·MDE(고객 중심 멀티 디바이스 경험)센터에서 'AI 라이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2024.05.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최근 인공지능(AI) 가전이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며 AI 가전이 향후 어디까지 진화할 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가사활동 제로'를 AI 가전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이에 맞춰 제품 및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특정 행위를 하지 않아도 미리 세팅된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이나 청소, 식료품 관리 등 가사 노동은 물론 TV 시청 등 엔터테인먼트까지 모두 자동화한다는 것이다.

이보나 삼성전자 상무는 최근 수원 사업장 CXI(고객경험 인사이트) 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용자가 귀찮고 불편한 경험을 하지 않고 AI 가전이 알아서 하는 것이 궁극적 지향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세탁물을 넣고 조절하는 가사 활동까지 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집 안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세탁과 공기청정, 청소, 설거지 등 모든 가사를 담당할 수도 있다.

특히 AI 가전은 집안 비서 역할을 전담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가사 생활 도우미 로봇인 '볼리'와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볼리는 자율주행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음성으로 명령을 수행한다. 가전 기기를 제어하고 노인을 돌보는 도우미 역할을 한다.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도 생성형 AI를 접목해 대화가 가능하고, 목소리와 표정으로 감정을 파악해 교감한다.

양사는 현재 로봇 사업 확장에 힘을 쏟고 있는 만큼, AI 가전과 연계된 로봇이 가사의 상당 부분을 담당할 전망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3월 수원 사업장을 찾아 볼리 시연을 본 후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과의 연계 방안을 고민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AI 가전에 더 고도화된 거대언어모델(LLM)이 탑재되는 것도 진화의 한 단면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일상 언어로 AI 가전과 소통할 수 있다. 인간의 명령을 AI 가전이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 LG AI 연구원은 스스로 질문(Self-Asking) 하면서 인간의 명령을 실행에 옮기는 LLM 액터(Actor)와 실행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LLM 크리틱(Critic) 기술을 공개했다.

LG AI 연구원은 이와 함께 AI가 인간의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목적성 대화(TOD) 기술과 명령·질문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기술도 진행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기술을 적용하면 온라인 쇼핑이나 로봇 청소기 등 가사 활동을 돕는 가전제품이 특정 환경에서 인간 명령을 더 정확하게 이해해 수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AI 가전은 고객 특성에 맞춰 가사활동을 하고, 사용자와 일상 대화 및 감정 공유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AI 가전의 핵심을 '자동화'와 '개인화'에 맞추고 있다"며 "AI 가전은 단순 가사를 넘어 사용자 일상을 관리하는 비서 역할까지 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LG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고도화된 로봇 및 AI 기술이 적용된 반려가전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고 9일 밝혔다. 이 제품은 스마트홈 허브를 포함해 생활 전반에 도움을 주는 만능 가사생활도우미 역할을 수행한다. (사진=LG전자 제공) 2024.01.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