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릿츠 본슈틱 개인전 ‘Pink’s Not Red’

김신성 2024. 5. 25. 08: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일 작가 프릿츠 본슈틱은 자연에 버려진 인간 소비문화의 잔재를 그린다.

하루가 다르게 파괴되는 자연을 지켜보는 작가는 풍차에 맞서는 돈키호테처럼 붓과 페인트, 음료 캔, 담배꽁초와 시든 '갈대꽃'을 들고 맞서 싸운다.

한 두 점을 볼 때는 버려져 쓰레기가 된 것들을 그린 탓에 파리가 꼬이고 냄새라도 날 것 같았지만, 1∼3층에 걸쳐 29점이나 걸린 작품들을 대면하고나면 오히려 색채를 고상하게 다루는 작가 특유의 화면에 마음을 쏙 빼앗기고 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연계가 인간계에 전하는 경고의 메시지
버려지고 용도폐기된 것들로 현대사회 풍자
독일 작가 프릿츠 본슈틱 국내 첫 개인전 ‘Pink’s Not Red’
6월29일까지 서울 삼청동 초이앤초이갤러리

고장난 컴퓨터와 모니터, 말라 비틀어진 꽃다발, 망가진 가구와 기계, 램프, 책, 폐타이어, 드럼통, 옷가지 ···.

독일 작가 프릿츠 본슈틱은 자연에 버려진 인간 소비문화의 잔재를 그린다. 덤블과 나무 사이의 쓰레기 더미, 버려진채 방치된 물건들이 자신들의 비애를 묵묵히 이야기하는 현장을 조명한다.

‘Night of the Unicorn’ (유니콘의 밤)
오직 새로운 것을 향한 끊임없는 갈망만이 존재하는 이 세상에서, 지나간 시대의 소중했던 꿈과 희망들은 어디쯤 표류하고 있을까.

하루가 다르게 파괴되는 자연을 지켜보는 작가는 풍차에 맞서는 돈키호테처럼 붓과 페인트, 음료 캔, 담배꽁초와 시든 '갈대꽃'을 들고 맞서 싸운다.

‘Roter Koffer’ (빨간 가방)
‘Der Linke Kanal’ (Ray of Light Remix, 운하)
1982년생인 작가는 어제의 최첨단 테크놀로지가 하루아침에 쓸모없는 유물로 취급받는 21세기초에 작업을 시작했다. 버려지고 용도폐기된 것들을 작품 소재로 재활용하면서 풍자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작가는 현대사회의 실태를 탐구하는 ‘완고한’ 관찰자다. 세밀한 고찰이 탄생시킨 그의 작품은 감정이 결여되어 있지 않고, 정교하며 고상한 색상과 형태를 띤다. 그 사이로 작가의 열정이 고개를 내민다.   

그의 그림에 인간은 등장하지 않는다. 홀로 남겨진 새, 개구리, 곤충들, 부엉이만 모습을 비친다. 이들은 인간에 의해 퇴색된 자연계, 그러나 끊임없이 증식하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는 자연계가 인간계에 전하는 경고의 메시지를 가지고 온다. 

‘Burger Place’ (Pink’s Not Red, 햄버거 집)
‘Outskirts’ (외곽)
프릿츠 본슈틱의 개인전이 ‘Pink’s Not Red’(분홍색은 빨강색이 아니다)라는 제목을 달고 6월29일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초이앤초이 갤러리에서 열린다. 단체전을 통해 그의 그림 몇 점이 국내에 선을 보인 적은 있지만 본격적인 개인전이 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 두 점을 볼 때는 버려져 쓰레기가 된 것들을 그린 탓에 파리가 꼬이고 냄새라도 날 것 같았지만, 1∼3층에 걸쳐 29점이나 걸린 작품들을 대면하고나면 오히려 색채를 고상하게 다루는 작가 특유의 화면에 마음을 쏙 빼앗기고 만다.  

3층에서는 통통한 너구리 한마리가 커다란 햄버거를 먹고 있다. 야생동물들이 인간이 만들어낸 생태계에 적응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식습관을 유지하며 패스트푸드에 치명적으로 중독되는 사태를 포착한 작품 ‘햄버거 집’이다.  

김신성 선임기자 sskim65@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