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도 올라갑니다"…창립 40주년 맞은 현대엘리가 그리는 미래

이세연 기자 2024. 5. 25. 0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불혹(不惑)'을 맞은 현대엘리베이터가 변화하는 도시 트렌드에 맞춰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로봇 연동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엘리베이터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를 출시하는 등 신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UAM '버티포트'(이착륙장)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주력하는 차세대 산업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수직·수평 이동기술을 접목해 차별화된 '수직 격납형 버티포트'(H-PORT)를 제안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슈속으로]
1982년 현대중전기 운반기계사업부가 처음으로 서울 계동 현대그룹 사옥용 엘리베이터를 수주하여 사업의 첫발을 내딛은 후, 현대그룹은 현대중전기에서 운반기계사업부를 분리하여 1984년 5월 23일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불혹(不惑)'을 맞은 현대엘리베이터가 변화하는 도시 트렌드에 맞춰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한다. 기존 서비스를 넘어 인공지능(AI) 기반 유지관리 서비스,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기업을 꿈꾸고 있다. 공자가 마흔을 그 어떤 것에도 흔들리지 않는 나이라고 표현했듯, 뚝심 있게 성장을 이어가겠단 계획이다.

1984년 설립된 현대엘리베이터는 1989년 고 정몽헌 회장이 부임하며 본격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1992년 엘리베이터 1만대 생산 돌파에 이어 1993년엔 중국 합작법인 상해현대전제제조유한공사를 설립하며 해외에 진출했다. 현재 국내에 유일하게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회사기도 하다.

현대엘리베이터 충주 스마트 캠퍼스 전경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는 17년 연속 국내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창립 이후 23년만인 2007년 시장점유율 29%를 실현하며 국내 1위에 올라섰다. 이듬해에는 창립 이래 처음으로 연간 승강기 설치 1만 대를 돌파하며 1등 기업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했다. 시장점유율도 36%로 뛰어올랐다. 그해에 국내에 설치된 2만7789대의 승강기 중 1만57대가 현대엘리베이터 제품이었다.

이후 현대엘리베이터는 본격적으로 초고속 엘리베이터 개발에 착수했다. 2009년 독자 개발한 국내 최고 속도 분속 1080m 엘리베이터에 멈추지 않고, 2020년 3월 세계 최고 속도인 분속 1260m 엘리베이터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022년 본사를 충주로 이전하며 2030년까지 매출 5조원, 해외사업 비중 50%, 글로벌 5위권에 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는 물론 해외 매출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미래의 꿈을 현실화하는 통로…"모빌리티 산업 선도하겠다"
현대엘리베이터가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사우디아라비아, 신도시 개발사업 네옴 로드쇼’에서 공개한 H-PORT 조감도. 건물 내부에는 UAM의 격납 및 충전, 정비가 가능한 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이젠 신시장 개척에 나섰다.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를 맞아 산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단 전략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로봇 연동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엘리베이터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를 출시하는 등 신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미리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로봇 연동 기술이 적용됐다. 고장으로 인한 운행 정지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엘리베이터 현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줘 유지관리 효율을 높였다. 지난해 6월 출시한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2만5000대를 돌파했다. 2028년까지 미리 적용 현장을 10만대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UAM '버티포트'(이착륙장)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주력하는 차세대 산업이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라 불리는 UAM은 하늘길을 이용해 도심 내 짧은 거리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다. 다만 기존에 구상된 버티포트는 이착륙장, 격납, 유지보수 공간이 평면상에 조성되어 기존 공항만큼 넓은 공간을 요구했다. 때문에 고층 건물이 밀집된 도심 환경에서 현실적인 한계로 꼽혀왔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수직·수평 이동기술을 접목해 차별화된 '수직 격납형 버티포트'(H-PORT)를 제안했다. H-PORT는 자동 주차 시스템을 활용한 격납고(Sky Garage), 드론의 자동 주차 및 자동 충전, 탑승객의 승하차 등을 통합 관제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현대엘리베이터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최근 버티포트 국책 과제 수행 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조재천 대표는 "로봇이 자유롭게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휴대폰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은 물론 문제가 생길 경우 어디서든 모니터링할 수 있고, H-PORT를 통해 도시에 항공기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세상이 우리가 준비한 미래"라고 했다.


이세연 기자 2counti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