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피해 호소하는 유권자들… ‘슈퍼선거의 해’인데 선거에 기후가 없다? [기후가 정치에게]

이민경 2024. 5. 25. 0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백만 명의 삶에 명백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선거에서 기후변화는 여전히 헤드라인(머리기사)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무더위에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있다.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으로 강제로 집을 떠나기도 한다. 유권자 9억7000만명으로 세계 최대 민주국가라 불리는 인도의 얘기다.

후보자도 수천 명이다. 한 지역구당 수십 명에 이르는 후보자가 출마했는데, 전체 지역구가 543개인 것을 고려했을 때 8000명이 넘는 후보자가 나왔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인도 동부 비하르주의 한 투표소에서 무슬림 여성이 투표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AP연합뉴스
대륙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이 위치한 인도는 해수면 상승, 심한 폭풍, 홍수, 해빙 등의 위험에 취약한 지역이다.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극심한 폭염과 극심한 가뭄도 경험하고 있다. 인도 뉴델리에 있는 과학 및 환경센터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해 1년의 300일 이상 동안 극한 날씨를 경험했다. 

수백개의 지역구에서 수천 명의 후보자들이 표를 달라며 뜨거운 더위 속에서 호소한다. 하지만 선거 운동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25일 AP통신은 “유권자들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광범위한 피해에 대해 안정, 회복력, 복구 등을 약속하는 정치인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누구를 뽑든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마하라슈트라주에 사는 농부 바이브하브 마스크는 생계를 잃을 위기에 놓였다. 그는 5월 초 농장에 필요한 물을 구하기 위해 약 183m 깊이의 우물 3개를 팠지만 땅이 ‘뼛속’까지 말라버려 물을 찾지 못했다. 동료 농부들 또한 이번 여름이 거의 1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정치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마스크는 “정치인들은 종교와 카스트(신분) 제도에 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다”며 “아무도 환경이나 농민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농부들에게 돈을 준다고 한다. 그런데 농기구를 포함한 모든 것에 세금이 너무 높은데, 어떻게 이런 식으로 생계를 유지하냐”고 지적했다.

지난 2023년 7월 12일(현지시간) 몬순(우기) 폭우로 45년 만에 최악의 홍수가 발생한 인도 뉴델리 야무나강에서 검은 소 세 마리가 주민들에 의해 구출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가뭄만이 문제가 아니다. 사이클론(열대성 폭풍)은 정치적 쟁점이 됐다. 인도에선 최근 들어 강력한 폭풍이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다. 지난해에만 사이클론으로 523명이 사망하고 약 25억달러(3조426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인도 열대기상연구소의 기후 과학자 록시 매튜 콜은 AP통신에 “홍수는 1950년대 이후 3배, 사이클론은 1980년대 이후 5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인도 남부·동부 해안을 초토화한 사이클론으로 인도 타밀나두주의 첸나이 지역의 주민 약 2만5000명은 이번 총선을 보이콧(거절)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주민 수바시니 라비는 “정치인들은 공약을 내세우며 표를 달라고만 한다”며 “선거가 끝나면 그들은 그냥 사라져 버린다”고 비판했다. 

홍수 역시 인도인들의 큰 걱정거리 중 하나다. 인도 아삼주에 사는 수천 명의 주민은 차르섬이라 불리는 작은 섬에서 쌀, 채소 등의 농산물을 기르고 낚시를 하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홍수 기간이 되면 섬 주민들은 임시로 만든 뗏목을 타고 육지로 이동했다가 홍수가 가라앉으면 다시 돌아오곤 한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홍수가 예측할 수 없이, 더 파괴적인 강도로 발생하자 주민들은 섬에 머물기가 어려워졌다고 토로한다. 

농부 야드 알리는 “모든 정치인이 홍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하지만 선거가 끝나면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민들 역시 누구를 뽑든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현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하루 앞둔 지난 4월 9일 서울 영등포구 YDP미래평생학습관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가 기표용구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총선은?…기후공약 제시한 당선자 4명 중 1명

지난 1월 로컬에너지랩과 더가능연구소, 녹색전환연구소 등이 참여한 기후정치바람이 유권자 1만7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3명 중 1명이 기후위기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기후유권자’로 나타났다. 

후보자는 어땠을까. 제22대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자 254명의 공약을 살펴보니 기후공약을 제시한 당선자는 64명이었다. 4명 중 1명이 기후공약을 제시한 셈이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역구 당선자가 161명 중 53명(33%), 국민의힘 지역구 당선자가 90명 중 10명(11%), 진보당 1명 중 1명이 기후공약을 제시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당선자 48명 중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부산, 세종, 경북에선 기후위기 공약을 제시한 당선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장은 “22대 총선 지역구 당선자 254명 중 64명이 기후공약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개발공약을 기반으로 기후공약을 추가한 후보가 많아 이후 당선자들의 의정활동을 모니터링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기후 시민들의 활동이 더 활발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근정 로컬에너지랩 대표는 “22대 국회개원과 동시에 기후위기대응 상설특위 구성과 같이 향후 4년간 국회에서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구조를 구축하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정치가 기후에 답하는 그 날까지 씁니다, 기후가 정치에게.

이민경 기자 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