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서 과거로 향하는 이유 [영화와 세상사이]

송상호 기자 2024. 5. 25. 06:01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테넷’과 ‘닥터 스트레인지’
영화 ‘테넷’ 스틸컷.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제공

 

■ 미래에서 바라보는 과거…‘어떻게’에 집중한 ‘테넷’

2020년 개봉한 영화 ‘테넷’의 한 장면을 떠올려 보자. 프리야와 주도자의 대화 신이다. “사토르는 현재와 미래 사이에서 브로커 역할을 하고 있어(프리야)”, “미래와 소통한다?(주도자)”, “우리 모두가 해. 이메일, 문자, 신용카드… 모든 게 기록돼서 남으니까 미래와 소통하는 거지(프리야)”, 그리고 이어지는 프리야의 질문. “그렇다면 미래도 과거와 소통할까?”

이 질문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사실 필요없는 물음이다. 미래는 당연히 과거를 응시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과거를 곱씹어본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전진의 동력을 찾아내지 않나. 우리가 지금 남기고 있는 정보와 기록들은 지금 우리를 위해 존재하지 않고, 미래의 우리가 과거를 돌아볼 때 유용하게 쓰인다. 현재 우리가 실시간으로 남기는 흔적들은 지금 이 시점의 우리를 정립하는 재료가 아니라 우리의 자취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들일 뿐이다.

결국 테넷에서 관객들은 미래의 세력들이 현재로 요원들을 보내 인류가 직면하게 되는 참극을 사전에 막는 모습을 본다. 이때 미래는 당연히 과거와 접속할 뿐만 아니라 과거를 건드려 현재에 이은 미래까지도 바꿔 버린다. 이때 테넷과 같이 ‘시간 역행’을 소재로 삼아 과거를 바꿔 미래까지 영향을 미치게 하는 시도들은 다양한 영화에서 다뤘던 작업이기 때문에 특별하지 않다. 문제는 이런 시도들이 ‘왜’ 진행돼야 하냐는 것이다. 이들은 왜 시간을 거스르고, 이들이 왜 미래에서 과거로 또 현재로 건너와 일어날 일과 일어나지 않은 일들을 저울질하며 고민에 빠져야 하는 걸까.

영화 '테넷' 스틸컷. 워너 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사실 테넷은 ‘왜’보다는 ‘어떻게’에 집중했다. 그 덕택에 이 영화는 독특한 작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개봉한 지 4년이 지났지만 이 영화만큼 역재생 기법을 다양한 방식으로 소화해낸 사례는 그 이전에도 이후에도 없다시피 하다는 점에서다. 그도 그럴 것이 테넷에 담겨 있는 역재생 신들은 단순히 촬영본을 되감기한 장면으로만 구성된 게 아니라 직접 배우들이 거꾸로 액션하고 연기하면서 담아낸 장면들도 많이 포함돼 있다. 연출자인 크리스토퍼 놀런의 신작 ‘오펜하이머’가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 등을 휩쓸며 화제의 반열에 올랐지만 사실 놀런의 테크닉은 전작인 테넷에서 가장 빛을 발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만큼 테넷은 기술과 연출 측면에서는 분명 주목할 만한 영화다.

그렇지만 테넷은 시간을 주물렀을 때 그 인과관계가 무너지고 다시 재정립되는 방식에만 초점을 맞출 뿐인 영화다. 다시 말해 미래의 존재가 과거에 개입하는 순간, 그 존재의 내면이 어떨지 들여다보는 데에는 한계를 드러낸다. 인류의 비극을 초래할 핵전쟁을 막자는 대의를 위해 요원들이 움직인다는 점은 알겠지만 그 이상의 동기나 명분, 내면의 고뇌 따위는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요소들이 아니다. 결국 인간은 과거를 바라볼 수 있을 뿐 미래가 어떨지는 상상에만 맡겨야 하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우리는 미래의 우리가 어떤 마음일지 알 수 없는 게 당연하다.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 스틸컷.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 스트레인지는 ‘왜’ 시간을 거슬러야만 했나

이때 또 다른 영화 한 편을 함께 언급하고 싶다. 바로 2016년 개봉한 ‘닥터 스트레인지’다. 공교롭게도 이 영화는 테넷과 ‘역재생’이라는 키워드로 한데 묶일 수 있다. 하지만 닥터 스트레인지의 후반부 역재생 시퀀스는 영화를 관통하는 핵심이자 테넷과의 차별점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구간이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닥터 스트레인지의 역재생이 흥미로운 이유는 세상이 파괴된 이후 재건 과정이 상세히 조명되기 때문이다.

악당 케실리우스와 그의 수하들이 홍콩에 도착해 웡을 비롯한 마법사들과 대치하는 장면, 그리고 이어지는 스트레인지와 모르도의 대화 신, 그리고 슬링 링을 지나 다시 펼쳐지는 홍콩. 이때 스트레인지와 모르도는 이미 폐허가 된 도시를 직면한다. 결의를 다지던 웡은 온데간데없고 시민들은 죽어 있으며, 생텀은 파괴됐고, ‘너무 늦었다’는 모르도의 대사가 극 내외에 선명하게 각인된다.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 스틸컷.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어째서 영화는 도시가 실시간으로 박살나는 현장의 급박함 대신 이미 벌어진 참상을 관객에게 제시했을까. 놀런은 테넷을 만들 때 건물을 실제로 폭파한 뒤 그것이 촬영된 필름을 되감았다. 그렇지만 닥터 스트레인지는 그런 실재하는 감각 자체엔 큰 관심이 없다. 그저 너와 나의 세계가 지속될 수 있는지, 그러니까 닥터 스트레인지의 스크린 안에는 그 가능성만이 맴돌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영화 속 홍콩이 폐허가 된 뒤 재건되는 과정은 잘못될 걸 알면서도 선택을 내려야 하는 존재들의 딜레마를 부각시킨다. 그래서 영화를 통해 우리는 역행하는 시간대를 거슬러 순행의 상태로 존재하는 스트레인지가 어떤 마음으로 시간을 되돌리고 있는지 가늠해볼 기회를 비교적 선명하게 얻을 수 있다.

스트레인지는 희생을 감수하면서 미래를 되돌려 과거로 향한 뒤 다시 발 딛고 살게 될 미래의 세상을 구한다. 테넷의 주도자 역시 닐과 함께 세상을 구했다. 이 과정에서 테넷은 당도한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니까 관객에게 주도자가 막고자 하는 미래의 비극은 드러나지 않은 셈이다. 주도자가 과거를 바로잡아 인류를 구하려는 사명감이 느껴지긴 해도 무엇을 위해 이렇게까지 몸부림치는지 가늠해보기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닥터 스트레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은 도르마무와의 거래 장면이 아니라 바로 파괴된 홍콩이 폐허에서 복구되는 장면이다.

관객들은 타임스톤을 이용해 시간을 되돌리는 스트레인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목격한다. 흐르는 시간을 조작했기 때문에 스트레인지는 자연의 법칙을 거슬렀다는 점에서 분명 무언가를 감내해야 할 테다. 그들은 어째서 미래에서 과거를 돌아봐야만 했을까. 테넷은 그에 대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고 닥터 스트레인지는 그 답변을 제시했다.

송상호 기자 ssho@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