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유의 웹툰파헤치기]불평등을 실력으로…네이버웹툰 ‘무능력자’

김정유 2024. 5. 25.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웹툰시장이 최근 급격히 외형을 키우고 있다.

전연령이 보는 작품부터 성인용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유료 웹툰들이 독자층도 점차 넓혀가고 있는 모습이다.

네이버웹툰의 신작 '무능력자'는 이 같은 사회의 불평등을 '이능'이라는 소재로 풀어낸다.

한편 '무능력자'는 네이버웹툰 '2022 지상최대공모전' 2기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지상최대공모전’ 2기 최우수상 수상작
이능력자 세계서 무능력자의 격투기 제패기
불평등 현실 속 짜릿한 카타르시스 전달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국내 웹툰시장이 최근 급격히 외형을 키우고 있다. 신생 웹툰 플랫폼이 대거 생기면서 주요 포털 웹툰과 함께 다양한 작품들이 독자들에게 소개되고 있다. 전연령이 보는 작품부터 성인용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유료 웹툰들이 독자층도 점차 넓혀가고 있는 모습이다. 단순 만화를 넘어 문화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대표 콘텐츠, 국내 웹툰 작품들을 낱낱이 파헤쳐 본다.(주의:일부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네이버웹툰 ‘무능력자’

현실 세상은 언제나 불공평하다. 처음부터 훤칠한 외모를, 수만금의 재력을 갖고 태어나 일반 사람들과 다른 세상을 산다. 네이버웹툰의 신작 ‘무능력자’는 이 같은 사회의 불평등을 ‘이능’이라는 소재로 풀어낸다. 웹툰 속에선 외모나 재력이 아닌 괴물같은 신체능력인 ‘이능’의 여부로 인간의 등급이 나뉜다. ‘무능력자’는 일반적인 인간 주인공이 괴물같은 이능력자들을 차례대로 격파하는 스토리로 독자들에게 현실 속에서 느껴보지 못한 쾌감을 선사한다.

‘무능력자’는 이 같은 이능력 소유자들과 종합 격투기를 접목했다. 이능력자와 일반인들은 당연히 경쟁이 되지 못한다. 모든 이들은 이능력자들의 격투기에 관심이 쏠리고 무능력자들의 리그는 홀대 받는다. 주인공은 무능력자 리그의 챔피언인 황광호다. 몰락한 리그의 대표를 맡은 여주인공 세연이 리그를 되살리기 위해 광호와 손을 잡으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황광호라는 주인공은 상당히 입체적인 인물이다. 주인공이어서 마냥 착하지 않고 오히려 악동스럽다. 누군가가 자신에게 명령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단순 무식하지만 그의 신체 능력은 챔피언에 걸맞는다. 웹툰을 보다보면 주인공은 지능도 꽤 뛰어나다. 세연이 계획을 세우는데 머뭇거리고 있는 찰내 이능력자 리그의 최고 등급자인 폴 로니에게 시비를 걸고 경기를 잡는다. 이 과정을 보면 상당히 전략적인 구석이 있다.

전체적인 스토리 라인은 강자들을 차례대로 무찌르는 전형적인 액션물이다. 하지만 세계관과 스토리 전개가 상당히 참신하다. 이능력자 격투기 리그부터 반칙과 잔꾀를 쓰는 주인공의 모습까지 재밌는 포인트들이 많다. 액션물인만큼 작화도 중요한데 세로로 펼쳐지는 웹툰의 특성에 맞게 작화와 컷 연출이 자연스럽다. 역동적인 액션 작화를 잘 그려내 몰입도를 높인다. 액션물은 독자들의 체감보다 작업량이 많은데 이를 감안해도 1회차당 분량이 상당하다.

‘무능력자’는 아무리 노력해도 일명 ‘금수저’들을 이길 수 없는 현실과 대비된다. 아무 능력도 없지만 오랜 시간 쌓아온 경험과 기술로 능력자들을 격파하는 과정을 보며 독자들은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현실에서 억눌린 불평등의 억울함을 웹툰에서 풀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작품이다.

한편 ‘무능력자’는 네이버웹툰 ‘2022 지상최대공모전’ 2기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김정유 (thec98@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