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대기업 다녀? 난 농사 짓는다”…농가소득 5000만원 첫 돌파

이윤식 기자(leeyunsik@mk.co.kr), 이희조 기자(love@mk.co.kr) 2024. 5. 25. 05: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농가 평균 연소득이 역대 처음으로 5000만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과일·채소류 가격이 급등한데다 정부의 농업 보조금이 20% 증가하는 등 공적 이전소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하반기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올랐던 점이 농업·농가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지난해 농가 이전소득 중 농업 지원금을 제외한 금액은 1160만3000원에 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보조금 20% 증가에
국민연금 수령액 증가도 한몫
[사진 = 연합뉴스]
국내 농가 평균 연소득이 역대 처음으로 5000만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과일·채소류 가격이 급등한데다 정부의 농업 보조금이 20% 증가하는 등 공적 이전소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연 평균 소득은 5082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농가소득 가운데 농작물 판매 등으로 버는 농업소득은 1114만3000원으로 17.5% 늘었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하반기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올랐던 점이 농업·농가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이정현 통계청 농어업동향과장은 “채소와 과수 가격 상승, 쌀값 안정화 등 영향으로 농가소득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농가에 지급하는 보조금이 늘면서 농가 이전소득도 증가했다. 지난해 농가소득 중 이전소득은 1718만8000원에 달했다. 이중 직불금을 포함한 농업 보조금은 지난해 466만7000원을 기록했는데 전년대비 20.3%가 증가한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기본직불 지급요건을 완화했다. 종전에는 기본직불 대상농지를 2017~2019년 간 직불금을 1회 이상 수령받은 농지로 한정했지만 해당 요건을 삭제했다. 이와 함께 재배작물을 쌀에서 밀·콩 등으로 전환을 유도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도입했고, 영농정착지원금 단가도 월 10만원 인상했다. 지난해 농업 직불금만 2조8000억원으로 정부는 2027년까지 이를 5조원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지난해 2667억원을 투입해 무기질비료 가격 인상분 차액을 지원했고, 1조원을 투입해 사료구매자금 저리 융자 사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6~7월 집중호우에 따른 재해보험금 지금액도 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손실을 보상하는 재해보험금 지급액이 전년 대비 80% 증가했고, 집중호우·태풍 피해가 큰 농가에 기존 대비 3배 수준의 재해복구비가 지원되는 등 농업잡수입은 70%(32만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농작물 수입이 증가한 데에는 정부가 지난해 선제적 수급대책을 실시하면서 수확기 쌀값이 80㎏당 20만원 이상으로 상승한 효과도 반영됐다. 또 정부가 지난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허가 근로자 등 외국인 농업 인력을 총 5만명으로 전년보다 2만4000명 늘린 것도 농가 인력 부담을 줄였다.

농촌 고령화에 따라 농가의 국민연금, 기초연금 수급액이 늘어난 것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농가 이전소득 중 농업 지원금을 제외한 금액은 1160만3000원에 달했다. 지난해 기초연금 수급액 평균은 월 32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1만5000원 늘었고,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37만3000원으로 같은 기간 2만7000원 늘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