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우주선 '스타라이너' 첫 유인 시험비행 6월 초 재시도

임미나 2024. 5. 25. 05: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보잉이 우주캡슐 '스타라이너'(Starliner)의 첫 유인 시험비행을 오는 6월 초 다시 시도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NASA와 보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타라이너의 유인 시험비행을 위한 발사를 오는 6월 1일 시도하고, 이날 실행하지 못하면 다음 날인 2일이나 5일, 6일에 시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헬륨 누출 있지만 관리 가능…안전엔 문제 없어"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로켓 발사대에 놓여있는 보잉의 우주캡슐 스타라이너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보잉이 우주캡슐 '스타라이너'(Starliner)의 첫 유인 시험비행을 오는 6월 초 다시 시도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NASA와 보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타라이너의 유인 시험비행을 위한 발사를 오는 6월 1일 시도하고, 이날 실행하지 못하면 다음 날인 2일이나 5일, 6일에 시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NASA와 보잉은 스타라이너의 무인 시험비행 성공 이후 2년 만인 지난 6일 우주비행사 2명을 태운 스타라이너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내는 첫 유인 시험비행을 시도했다가 카운트다운 2시간을 앞두고 로켓 상단의 산소 방출 밸브 오작동 문제로 발사를 연기한 바 있다.

이후 보잉 측은 스타라이너의 추진기 발사에 사용되는 헬륨이 기기에서 일부 누출된 것을 확인하고 발사 일정을 몇 차례 더 미뤘고, 지난 22일 다시 연기한다는 방침을 알리면서는 이후 목표 시점도 밝히지 않았다.

보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문제가 된 헬륨 누출이 발사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며 미량의 누출이 아직 계속되고 있지만 시험비행을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잉의 부사장 겸 유인 비행 프로그램 관리자인 마크 나피는 "우리는 이것(누출)을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것은 비행 안전 문제가 아니다"라며 "우리는 이 특정 누출의 원인을 확인한 것에 안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NASA와 보잉은 조사 결과 헬륨 누출의 원인이 셔츠 단추 크기의 고무 실(seal, 봉합 부분) 결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했다. 담당 팀은 이런 누출 상태가 악화하더라도 비행 도중 관리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NASA의 짐 프리 부국장은 "우리는 안전하다고 확신할 때까지 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타라이너는 2019년 12월 첫 무인 시험비행 때 소프트웨어 이상으로 ISS와 도킹하지 못하고 귀환하는 등 기술적인 문제가 거듭된 끝에 2022년 5월 무인 비행에 어렵게 성공했으며, 이후에도 유인 시험비행이 계속 늦춰지는 등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스타라이너는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과 함께 지구 궤도의 ISS를 오가며 NASA의 수송 임무를 담당하는 유인 캡슐로 개발돼 왔다.

min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