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조선시대 한강 포구에 다리 건설한 이유

김상운 기자 2024. 5. 25. 01: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겸재 정선(1676∼1759)이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 수록한 '광진(廣津)'과 '송파진(松坡津)', '동작진(銅雀津)', '양화환도(楊花喚渡)'는 18세기 한강의 포구들을 묘사한 그림이다.

당시 한강은 조세와 물산을 실어 나르는 주요 교통로였기에 해당 포구의 경제·사회적 중요성은 매우 컸다.

조선의 중흥을 이끈 철인군주 정조대에 이르러서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융릉)를 참배하기 위해 한강 위에 배다리를 놓은 용산∼노량진을 다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자서전/신병주 지음/360쪽·2만2000원·글항아리
겸재 정선(1676∼1759)이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 수록한 ‘광진(廣津)’과 ‘송파진(松坡津)’, ‘동작진(銅雀津)’, ‘양화환도(楊花喚渡)’는 18세기 한강의 포구들을 묘사한 그림이다. 당시 한강은 조세와 물산을 실어 나르는 주요 교통로였기에 해당 포구의 경제·사회적 중요성은 매우 컸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겸재가 그린 해당 포구들에 현재 광진교, 동작대교, 양화대교 등 주요 다리들이 놓여져 서울 곳곳의 교통과 물류를 잇고 있다는 사실이다. 오랜 세월이 흘러도 한강을 중심으로 한 인문지리적 환경은 맥이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조선사 전공자로 건국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는 서울이 한 나라의 수도가 된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그 내력을 마치 자서전처럼 써 내려갔다. 사람의 탄생과 성장, 고난을 그리듯 조선 건국에 따른 한양 천도부터 일제 침탈에 이르기까지 서울 600년의 역사를 시대순으로 엮었다.

조선의 중흥을 이끈 철인군주 정조대에 이르러서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융릉)를 참배하기 위해 한강 위에 배다리를 놓은 용산∼노량진을 다룬다. 정조는 배들을 이어 붙일 수 있는 장소로 수심과 강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용산∼노량진 구간을 택했는데, 1900년 최초의 근대식 철교인 ‘한강철교’가 이곳에 들어선 건 우연이 아니었다.

부제 ‘조선의 눈으로 걷다’가 시사하듯 저자는 “독자들이 책에 소개된 장소들을 직접 탐방하면서 역사의 향기를 체험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썼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