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가 도입한 ABS, MLB는 신중하다···“2025년 도입 어려워, 운영상 문제 해결 안돼”

윤은용 기자 2024. 5. 24. 23: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BS 스트라이크 존 기준. 김하진 기자



KBO리그에서는 선수들이 자주 불만을 터뜨리는 대상인 자동 투구판정시스템(ABS) 메이저리그에서는 빨라야 2026년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롭 맨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는 24일 메이저리그 30개 구단 구단주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ABS 운영상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2025년에는 도입이 어렵다”고 밝혔다. 스트라이크존을 어떻게 정의할지, 타자의 신장 또는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타자 개인별 스트라이크존을 어떻게 설정할지 등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ABS는 야구장에 설치된 카메라가 추적한 투구 궤적을 바탕으로 컴퓨터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이다. 흔히 ‘로봇 심판’으로 불린다.

ABS 정확성 테스트. KBO 제공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2019년부터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테스트하고 있다. 메이저리그 바로 아래 단계인 트리플A에서는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로봇 심판과 인간 심판의 투구 판정을 병행하고 있다.

KBO리그는 프로야구를 운영하는 전 세계 나라 중 최초로 올해 ABS를 1군 경기에 도입했다. 스트라이크존 상하한선은 타자 신장의 56.35%, 27.64% 지점으로, 스트라이크 존 좌우는 홈플레이트 양 사이드에서 2㎝씩 늘어난 값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선수나 지도자들이 아직 완벽하게 ABS에 적응하지 못해 불만이 종종 나오고 있다. 다만, 투구 판정의 공정성을 크게 높였다는 측면에서는 팬들이 선호한다.

ABS가 스트라이크로 판정한 공을 볼로 선언한 뒤 항의를 받자 심판들이 모여 논의하고 있다. SBS스포츠 중계화면 캡처



윤은용 기자 plaimston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