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불청객, 또 제주바다 습격…3년 전 악몽 다시?

임예은 기자 2024. 5. 24. 19: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악취도 심하고 어업도 방해하는 '괭생이모자반'
지난 3주 900톤 수거…벌써 지난해 2배

[앵커]

3년 전 제주 바다를 괴롭혔던 '괭생이모자반'이 또 중국 해안에서 떠밀려와 어민들이 골치를 앓고 있습니다. 이게 바다를 뒤덮으면 보기에만 불편한 게 아니라 악취도 심하고 어업까지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임예은 기자입니다.

[기자]

힘차게 물살을 가를 땐 몰랐습니다.

고기가 얼마나 잡혔을까 기대도 잠시, 불청객이 나타났습니다.

[고성호/백산수산 선장 : 고기 안 많아. 모자반 때문에 고기 없어!]

어망 줄마다 괭생이모자반이 매달렸습니다.

잘 올라오던 줄이 걸렸다 싶으면 여지 없이 이게 말썽입니다.

갈고리로 건지고 칼로 잘라내야 합니다.

겨우 건져 올린 고기 그물 안에도 적잖은 양이 있습니다.

[고성호/백산수산 선장 : 모자반이 물속에 있으면 그물이 밑으로 쳐지고 그물이 제 형태를 못 갖추죠.]

그물이 고기를 제대로 못 가눈다는 겁니다.

가까운 바다도 마찬가지, 포구에 둥둥 떠다녀 배 몰기가 힘듭니다.

새하얀 백사장도 습격했습니다.

아이는 신기해 만져보지만, 보기도 냄새도 좋지 않습니다.

[이민영/관광객 : 애들 노는데 위생상 괜찮을까 이런 걱정도 되고 파리도 많고 벌레도 많이 꼬이잖아요.]

생김새와 비릿한 냄새까지 얼핏 보기엔 흔히 먹는 해조류 '톳' 같은데요.

힘껏 잡아 당겨도 끊어지지 않을 만큼 질기고 억셉니다.

모래 틈을 파고 들고 바위에 들러붙어 사람이 떼내어야 합니다.

[{이게 계속 엉켜가지고…} 네 계속 올라와서, 보통이 아니라니까요.]

3시간 걷은 게 성인 남성 키를 넘습니다.

지난 3주 사이 제주 전체에서 911.5톤을 수거했습니다.

지난해의 두 배가 넘습니다.

골칫거리 괭생이모자반을 막는 법, 현재로선 알 수 없습니다.

[김상일/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사 : 규칙성도 없는 데다가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생기는 거면 해결이 되는데…]

중국에서 생겨, 바람과 조류를 타고 오는 만큼 기상 여건이 도와주길 바랄 뿐입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