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형욱 "합법적 CCTV 설치, 직원 감시용도 아냐"…갑질 논란 후 첫 입장

박양수 2024. 5. 24. 19: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강형욱의 보듬TV 캡처]

반려견 훈련사 강형욱 보듬컴퍼니 대표가 그간 불거졌던 갑질과 폭언 논란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논란이 불거진지 일주일만이다.

'개통령'으로 불리는 강형욱은 24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강형욱의 보듬TV'에서 '늦어져서 죄송합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에서 강형욱과 배우자 수잔 엘더는 그간의 여러 논란과 의혹에 대해 한 시간가량에 거러쳐 해명했다.

강형욱은 먼저 "사실 여부를 따지기 앞서서 좋지 못한 소식을 전해드려서 정말 죄송하다"며 "제가 알고 있는 사실과 갖고 있는 기억을 허심탄회하게 말씀드리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CCTV로 직원을 감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직원 감시 용도가 아니다. 사람들이 있는 곳이고 용품을 갖고 있는 곳이라서 CCTV가 있어야 했다"고 설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CCTV가 없는 사무실이 있을까 싶다. 도난이 있을 수 있고 외부인이 들어올 수도 있다. 사무실에서 훈련 상담도 하기에 개가 우리를 물 수도 있고 뜻밖의 일이 생길 수 있다. 사실을 인증하고 확인하기 위해 없으면 안됐다"면서 CCTV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직원들이 CCTV에 불쾌감을 표한 것에 대해선 "사무실을 열 때 CCTV도 같이 설치했어야 하는데, 일을 하다 중간에 필요성을 느껴 설치했다. 제 방에도 있다"며 "그 분들은 CCTV가 없던 사무실에 CCTV를 달려고 하니 그게 불만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 뒤로 입사하신 분들이나 훈련사님들은 CCTV 가지고 뭐라고 하지 않았다. 한 두분이 CCTV가 자기를 감시하는 것 같다고 불만을 말씀해 주셨던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CCTV로 직원을 감시해 꾸짖었다는 것에 대해선 강하게 부인했다. 강형욱의 아내는 "CCTV를 본 게 아니라 눈으로 보고 지적한 것"이라며 "그 직원분이 정말 이런 포즈로 의자에 목을 받쳐서 책상에 팔을 이렇게 해서 마우스로 영상 편집을 하고 있었다. 외부인들도 많이 오고 다른 직원들 보는 눈도 있어서 그런 근무 태도는 말을 해주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 직원분이 CCTV에 대한 스트레스가 좀 많았다. CCTV가 자기를 감시한다고 주장했고,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했다.

여성 직원들의 탈의실에 CCTV를 설치했다는 의혹도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수잔 엘더는 "탈의실에 CCTV를 설치했다고 문제 제기된 사무실은 지금은 남양주 보듬 사무실이 아닌 잠원동 사무실이었다"며 "그 사무실엔 탈의공간이 없다"고 했다.

강형욱은 명절 선물로 배변 봉투에 스팸을 담아 줬다는 주장에 대해 "명절에 차 세트나 꿀을 선물했는데, 직원분들이 대부분 자취하니까 좋아하지 않더라"며 "물어보니 스팸을 좋아한다고 해서 스팸 선물세트를 샀는데 주문 실수를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네모난 박스 포장이 아니라 대형 마트에서 파는 6개, 4개짜리 묶음 스팸이 왔다. 주문을 잘못했구나 싶었는데 명절은 배송이 늦고 반품하기도 힘들다"며 "직원들에게 주문 실수했다 말하고 나눠 가져가라고 했다. 내가 줄을 세워서 배변 봉투에 햄을 준 게 아니라 여러분들끼리 나눠 가져가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도 가져갔는데, 다른 직원들이 어떤 봉투를 썼는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강형욱은 '숨도 쉬지 마라', '벌레보다 못하다', '나가도 기어서 나가라' 등 폭언 논란에 대해선 "내가 쓰는 말투가 아니고 그런 말 안 쓴다"며 "난 욕을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화를 낼 수 있다. 그런 말은 내가 쓰는 말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또 "훈련하다 보면 사나운 개들이 있을 수 있다. 전국에 있는 사나운 개들이 모이는 곳이다. 보호자가 물리기도 하고 훈련사님이 물린다"며 "훈련사님들에게도 '조심하세요'라고 할 말들을 '조심해'라고 큰소리쳤던 적도 많았던 거 같다. 훈련사가 개의 줄을 놓칠 때면 호되게 혼냈던 거 같다"라고 말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