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연속 오른 김값…정부 “할인지원 계속할 것”[생활물가]

김형일 2024. 5. 24. 18: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값이 4주 연속 오른 가운데 정부가 다음 달에도 할인지원을 계속하고 할당관세 물량도 신속 도입하기로 했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도매 기준 마른김(1속) 가격은 지난달 25일 1만440원에서 23일 1만700원으로 4주 연속 올랐다.

축산물 품목별 가격은 △소(1등급·1㎏) 1만4649원→1만4419원 △돼지(1등급·탕박·1㎏) 5465원→5716원 △육계(10호) 3399원→3238원 △달걀(특란·30개) 5269원→5275원을 나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른김 1속 가격 평년 대비 4000원 이상 웃돌아
정부 "이주 할당관세 물량 825t 신속 도입"
김값이 4주 연속 오른 가운데 정부가 다음 달에도 할인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김값이 4주 연속 오른 가운데 정부가 다음 달에도 할인지원을 계속하고 할당관세 물량도 신속 도입하기로 했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도매 기준 마른김(1속) 가격은 지난달 25일 1만440원에서 23일 1만700원으로 4주 연속 올랐다. 평년 가격이 6305원인 점을 고려하면 4000원 이상 웃도는 셈이다.

이에 조미김 시장 1위인 동원F&B는 내달부터 김 가격을 최대 15% 인상하기로 했다. 대표 제품인 ‘양반 들기름김’(4.5g 20봉)은 9480원에서 1만980원으로 1500원(15.8%), ‘양반 참기름김’(식탁 9봉)은 4780원에서 5480원으로 700원(14.6%) 오른다고 밝혔다.

김값 오름세가 지속되자 정부는 대책을 내놨다. 이날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3월부터 시작한 김 20% 할인지원을 다음 달에도 유지한다고 했다. 또 이번 주 통관이 시작된 김 할당관세 물량 825t도 신속 도입한다고 보탰다.

할당관세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일시적으로 낮추거나 높이는 뜻한다. 정부는 올해 연말까지 배추·포도·코코아두(수입 전량), 양배추(6000t), 당근(4만t), 마른김(700t), 조미김(125t) 등 7종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달 들어 매일 배추 110t, 무 100t을 방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추(10㎏) 가격은 지난 16일 1만5686원에서 23일 9750원으로 크게 내렸다. 같은 기간 다른 농산물 가격은 동기간 △쌀(20㎏) 4만9740원→4만9660원 △무(20㎏) 1만7450원→1만8229원 △양파(15㎏) 2만1180원→1만9040원 △대파(1㎏) 2046원→2082원 △깐마늘(20㎏) 13만6667원→13만5667원을 가리켰다.

축산물 품목별 가격은 △소(1등급·1㎏) 1만4649원→1만4419원 △돼지(1등급·탕박·1㎏) 5465원→5716원 △육계(10호) 3399원→3238원 △달걀(특란·30개) 5269원→5275원을 나타냈다.

비교적 가격 상승 폭이 컸던 마른김, 무, 돼지의 시장별 가격은 소매 기준 전통시장이 김(10장) 1261원, 무(1개) 2365원, 돼지(삼겹살·100g) 2440원을 나타냈다. 대형마트는 동일 기준 김 1073원, 무 1884원, 삼겹살 2195원으로 집계됐다.

김형일 (ktripod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