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부심 된 성심당을 보라”...‘골목길 경제학자’ 모종린 교수 “로컬 콘텐츠 생태계 자생력 높여야”

박용선 기자 2024. 5. 24. 1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로컬 비즈니스는 두 단계 성장 과정을 거친다. 지역에 뿌리 내리는 과정인 스케일 딥(Scale Deep)과 전국 시장으로 확장하는 스케일 업(Scale Up)이다. 이 두 단계를 거쳐 해외 시장으로 나갈 수 있다."

모 교수는 "로컬 브랜드가 스케일 업을 통해 성장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지역의 고유한 자원과 네트워크에 깊이 뿌리내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스케일 업 과정에서 브랜드는 눈에 보이는 화려한 성장을 이루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눈에 보이지 않는 지역 기반 뿌리의 착실한 성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개최
오영주 중기부 장관 “로컬 브랜드 기업과 글로컬 상권 구축” 강조
모종린 연세대 교수가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에서 ‘로컬의 재발견과 지역의 경계를 넘어선 창의적 혁신’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박용선 기자

“로컬 비즈니스는 두 단계 성장 과정을 거친다. 지역에 뿌리 내리는 과정인 스케일 딥(Scale Deep)과 전국 시장으로 확장하는 스케일 업(Scale Up)이다. 이 두 단계를 거쳐 해외 시장으로 나갈 수 있다.”

‘골목길 경제학자’ 모종린 연세대 교수는 24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로컬 비즈니스는 지역의 자연·문화 특성과 아이디어를 결합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 기반 창의적 사업을 말한다. 모 교수는 “스타벅스, 나이키 등 글로벌 대기업도 사실 동네 회사 시작했다”며 “국내 소상공인의 미래도 로컬 비즈니스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도시 콘텐츠 전문 기획사 어반플레이가 기획한 이번 행사는 지역만의 창조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로컬 브랜드가 단순 상품을 넘어 오늘날 새로운 문화적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핵심 내용을 주제로 5월 17일부터 6월 2일까지 열린다.

이날 콘퍼런스에는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참석했다. 오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창의적인 소상공인들이 지역 문화를 선도하는 크리에이터가 되고, 대전 성심당처럼 지역을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가 돼 지역과 협력하고 세계인이 찾는 글로컬(glocal) 상권을 만들어 낸다”며 “지역의 미래는 소멸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역동적인 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장관은 또한 “민간에서 로컬 생태계 확산에 적극 노력해준다면, 중소벤처기업부도 힘을 보태 함께 새로운 로컬 브랜드 기업과 글로컬 상권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모 교수는 “로컬 브랜드가 스케일 업을 통해 성장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지역의 고유한 자원과 네트워크에 깊이 뿌리내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스케일 업 과정에서 브랜드는 눈에 보이는 화려한 성장을 이루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눈에 보이지 않는 지역 기반 뿌리의 착실한 성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전 성심당과 미국 식품기업 징거(zingerman’s)를 예로 들었다. 성심당은 ‘대전 내 판매’ ‘당일 생산 빵, 당일 소진’ ‘남은 빵,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기부’ 등의 원칙을 고수하며 ‘대전의 자부심’ 기업으로 성장했다. 작은 식당에서 시작한 징거는 최고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대형 식품기업 중 한 곳으로 성장했다.

모 교수는 “로컬 브랜드는 지역 고유의 스토리를 발굴하고 주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참여형 브랜딩으로 성공한다”고 했다.

모 교수는 유휴 부동산을 창의적으로 재생해 크리에이터 타운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서울 연희동 연남장, 서교 크리에이터 타운 등이 대표적”이라며 “일자리, 주거, 여가가 어우러진 직주락(職住樂) 공간을 만들어 로컬 콘텐츠 생태계의 자생력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모 교수는 지역 사회 문제 해결형 로컬 비즈니스도 강조했다. 모 교수는 “디트로이트 키친 커넥트, 굿 푸드 액세스 프로젝트 등과 같이 로컬 자원을 연계해 지역 문제를 혁신하는 과정 자체가 브랜드 경쟁력이 된다”고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