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국립대, '메가 의대'로 커졌다…미니 의대도 100명 안팎으로

김수현 2024. 5. 24. 15: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증원규모 1천509명 확정…"지역의료 거점으로 키우겠다"
거점 국립대 6개교, 서울대보다 커져…사립대는 대부분 증원분 100% 반영
2026학년도에는 2천명 증원 가능성…의사들 반발은 '변수'
입학정원 확대 앞둔 의과대학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24일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이 확정되면서 지역 국립대와 비수도권 소규모 의대가 큰 수혜를 보게 됐다.

지역 국립대는 지역 필수의료 거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서울대보다 큰 규모의 '메가 의대'로 재탄생한다.

정원이 50명 이하였던 소규모 의대들은 정원이 100명 안팎으로 늘어나면서 의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정원 확대 앞둔 의과대학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지방국립대 6곳 의대, 서울대보다 커졌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24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대학입학전형위원회를 열고, 32개 의대의 증원 인원을 반영한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심의, 승인했다.

이로써 2025학년도 의대 증원에 '쐐기'를 박게 됐다.

애초 정부는 2025학년도부터 의대 증원을 2천명 늘리려고 했다.

그러나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해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분의 50∼100%만 뽑을 수 있게 허용하면서 32개 의대의 총증원 규모는 1천509명으로 줄었다.

내년 전체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3천58명에서 4천567명으로 늘어난다.

9개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학은 모두 2025학년도에 증원분의 50%만 반영해 뽑는다.

9개교의 증원 규모는 총 405명이다.

이 가운데 ▲ 경북대 155명 ▲ 경상국립대 138명 ▲ 부산대 163명 ▲ 전북대 171명 ▲ 전남대 163명 ▲ 충남대 155명 등 6개 대학이 서울대(정원 135명)보다 큰 규모로 증원됐다.

충북대는 125명, 강원대는 91명, 제주대는 70명을 각각 선발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를 정부가 집중적으로 증원한 것은 '지역의료·필수의료 거점'으로서 역할을 강화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강의실에 쌓인 심장학 이론서 지난 19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심장학 이론서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니 의대' 정원도 대폭 늘어났다

23개 사립대 가운데 정원이 50명 이하였던 14개 소규모 의대도 대폭 증원됐다.

정원이 각각 40명이었던 성균관대와 아주대, 울산대는 110명을 선발한다. 이들 대학은 애초 이번 증원으로 정원이 120명으로 늘어날 예정이었으나, 내년에는 10명을 줄여 뽑는다.

단국대(천안) 역시 기존 정원 40명에서 증원분의 50%를 적용해 모두 80명을 선발하기로 했다.

나머지 소규모 의대들은 정부에서 배정받은 증원분을 모두 선발한다.

▲ 차의과대(기존 정원 40명) 80명 ▲ 인하대(49명) 120명 ▲ 가천대(40명) 130명 ▲ 가톨릭관동대(49명) 100명 ▲ 동국대 분교(49명) 120명 ▲ 대구가톨릭대(40명) 80명 ▲ 동아대(49명) 100명 ▲ 건국대 분교(40명) 100명 ▲ 건양대(49명) 100명 ▲ 을지대(40명) 100명 규모로 커졌다.

정부가 소규모 의대에 증원분을 집중적으로 배정한 것은 의학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규모를 키워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결과다.

그간 소규모 의대들은 의대 운영에 투입되는 인적·물적 자원에 비해 정원이 지나치게 적어 운영상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거점 국립대나 소규모 의대가 아닌 나머지 9개 의대 중에서 2025학년도 모집인원을 당초 증원분보다 줄여 뽑는 곳은 영남대뿐이다.

영남대는 기존 증원분 44명을 24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존 정원 76명을 포함해 100명을 선발하게 된다.

이외에 ▲ 연세대 분교(기존 정원 93명) 100명 ▲ 한림대(76명) 100명 ▲ 계명대(76명) 120명 ▲ 인제대(93명) 100명 ▲ 고신대(76명) 100명 ▲ 원광대(93명) 150명 ▲ 조선대(125명) 150명 ▲ 순천향대(93명) 150명 등은 정부가 배정한대로 선발 규모가 늘어난다.

의대정원 확대…학원가 상황은?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2026학년도에는 2천명 증원 가능성…의사들 반발은 '변수'

정부는 2026학년에는 예정대로 의대 정원을 2천명 증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9개 거점 국립대 중 7개 대학의 모집 인원은 200명으로 더욱 커진다.

실제로 각 대학은 지난달 말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공표하고, 2025학년도와 달리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대로 의대 정원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변수는 남아 있다.

의료계에서 정부를 상대로 의대 정원 증원·배정 집행정지를 신청하고 본안 소송까지 제기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사법 당국이 대규모 증원에 따라 교육 여건이 악화해 의대생들이 입는 피해가 명백하다고 판단할 경우, 2026학년도 2천명 증원은 어려워질 수 있다.

전공의들이 여전히 '2천명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면서 의료 현장으로의 복귀를 거부하고 있는 것도 2천명 증원 정책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porqu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