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아프리카 케냐에 ‘군사 동맹’ 지위 부여, 왜?

권경성 2024. 5. 24. 1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아프리카 국가 케냐에 군사 동맹국 지위를 부여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고, 미국 내 흑인 이민자의 대선 표심도 붙들기 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다중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이 2022년 12월 워싱턴에서 8년 만에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열고 2023년 아프리카를 찾겠다고 약속했지만 유럽·중동 전쟁, 중국과의 패권 경쟁 등에 신경 쓰느라 지키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정상회담… 사하라 이남 처음
중·러 견제에, 흑인 이민자 표심 구애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23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아프리카 국가 케냐에 군사 동맹국 지위를 부여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고, 미국 내 흑인 이민자의 대선 표심도 붙들기 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다중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아프리카 10년 가까이 방치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과 2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케냐를 ‘주요 비(非)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MNNA)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NNA는 나토 회원이 아닌 나라 중 미국과 군사상 전략적 관계를 맺은 동맹국이다. 현재 한국, 일본, 호주, 이스라엘 등 18개 국가가 지정돼 있다. 추가하려면 의회 입법이 필요하다.

케냐가 MNNA로 지정되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SSA) 중 처음이다. 이미 포함된 이집트, 모로코, 튀니지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이다. 백악관은 “미국과 케냐 간의 수십 년간 안보 협력은 (이슬람 테러 조직들이 활동하는) 동아프리카 등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국제 평화 유지와 평화 협상 등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케냐는 SSA의 대표 격이다. 미국은 2015년 7월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의 케냐·에티오피아 방문을 끝으로 10년 가까이 정상이 발을 끊었다. 심지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 1월 아프리카 국가들을 ‘거지 소굴’로 비하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2022년 12월 워싱턴에서 8년 만에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열고 2023년 아프리카를 찾겠다고 약속했지만 유럽·중동 전쟁, 중국과의 패권 경쟁 등에 신경 쓰느라 지키지 않았다.

2일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델마22 지역 주민들이 갱단의 폭력을 피해 집을 버리고 대피하고 있다. 포르토프랭스=AP 뉴시스

대가는 중국·러시아의 역내 영향력 확대였다. 중국은 차관(대출)을 통한 기반시설(인프라) 사업을 아프리카에서도 크게 벌이고 있다. 러시아는 옛 소련 당시 우호적 관계를 토대로 아프리카를 공략 중이다. 특히 미국이 올 9월까지 서아프리카 니제르에 주둔하던 병력 1,000여 명을 철수하기로 최근 결정하며 빈자리를 러시아가 메울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 상태다.


“아이티 경찰 파견 고맙다”

설상가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부른 고물가와 갈수록 극단화하는 기후변화가 아프리카를 곤경에 빠뜨리자 모국과 연결된 미국 내 흑인 유권자 수백만 명이 동요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조지아, 펜실베이니아, 미네소타처럼 정치적으로 중요한 주(州)의 흑인 이민자 증가세가 가파르다”며 “지금 자기 고국의 형편이 4년 전 트럼프 시절보다 나아졌는지 이들이 의문을 품은 상태에서 대선이 다가오고 있다”고 전했다.

환대는 다분히 이를 의식한 전략이다. 가령 채권국을 상대로 함께 부채 탕감을 촉구하자는 제안은 중국의 ‘부채 외교’를 겨냥한 것이다. “재선된 뒤 내년 2월 아프리카를 방문하겠다”는 공약은 아프리카를 더는 뒷전에 두지 않겠다는 의지의 피력일 수 있다.

보상 성격도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견에서 치안 공백 상태의 중미 국가 아이티에 왜 파병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오해를 부를 수 있다”고 대답했다. 이를 알고 아이티에 경찰을 파견하겠다고 나선 나라가 케냐였다. 그는 “아이티 국민은 평화와 안전을 누릴 자격이 있다. 그 책임을 루토 대통령이 맡아 줘 고맙다”고 말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