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 확산일로…“지난해보다 피해 3배 넘어”

송국회 2024. 5. 24. 12: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과나 배나무가 불에 타 화상을 입은 듯 말라죽는 과수화상병이 올해도 기승입니다.

지난주 첫 발생 이후 벌써 피해 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3배를 넘기는 등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보도에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뿌리째 뽑힌 사과 나무들이 흙구덩이 안으로 줄이어 쏟아집니다.

이 농장에 과수화상병이 확인돼, 심어 놓은 사과나무 240여 그루 전부를 땅에 묻고 있는 겁니다.

치료제가 없기에 한번 걸리면 파묻을 수밖에 없어 매몰 작업을 지켜보는 농민은 가슴이 타들어 갑니다.

[피해 농민 : "(앞으로) 3년 있다 (농사를 다시) 짓는데, 쟤(나무)가 7년은 돼야 제 밥벌이… 소독약값은…."]

지난주 충북 충주와 충남 천안에서 올해 처음 발생한 과수화상병은 빠른 속도로 번지고 있습니다.

열흘도 안 돼 경기와 전북으로까지 퍼져, 12개 시·군 32개 농가에서 확인됐습니다.

피해 면적만 25만여㎡로 이미 지난해 같은 기간의 3배를 웃돌고 있습니다.

온난한 겨울 기온과 잦은 비 등이 과수화상병 확산을 키운 것으로 분석됩니다.

문제는 앞으롭니다.

과실을 솎아내는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어서 세균 감염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다음 달 초까지 26도 안팎의 기온이 이어질 전망이어서 세균 증식도 용이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견민성/충북 충주시 환경대응팀 : "(작업 도구는) 70% 알코올 등의 소독액을 10초 이상 충분히 소독하시고 사용하기를 당부드리고…."]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올해 과수화상병 발생 농가 대부분이 과거 발생지 반경 2km 안에 있다며, 철저한 방역만이 확산을 막을 최선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 김선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송국회 기자 (skh0927@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