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비디아’에 한미반도체 매수 폭발···삼성전자도 3위 기록[주식 초고수는 지금]

심기문 기자 2024. 5. 24. 11: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24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한미반도체(042700)로 나타났다.

HLB제약은 HLB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간약 신약 승인 허가 획득에 실패하자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지만, 이후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는 등 바닥을 다졌다는 인식이 커지자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 집계]
HBM 품질 검증 논란에 2% 내린 삼전에도 매수세
[서울경제]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24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한미반도체(042700)로 나타났다. HLB제약(047920), 삼성전자(005930), HLB(028300) 등이 순매수 상위권에 올랐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한미반도체로 집계됐다.

한미반도체는 SK하이닉스에 HBM 관련 장비를 납품하고 있어 엔비디아 밸류체인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미반도체가 제작·공급하는 TC 본더는 HBM 패키징 작업에서 D램을 위아래로 붙일 때 쓰인다. 한미반도체는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실적을 발표한 영향에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밤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다우존스 지수가 1.53% 내리고 나스닥이 0.39% 하락할 때도 엔비디아는 9.32% 상승한 1037.9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위는 HLB제약이다. HLB제약은 HLB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간약 신약 승인 허가 획득에 실패하자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지만, 이후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는 등 바닥을 다졌다는 인식이 커지자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HLB와 그룹주를 둘러싸고 단기적인 투자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다수 유입되고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위는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납품하기 위한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2~3%대 약세를 나타내자 저점 매수에 나선 투자자가 다수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전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HBM의 발열과 전력 소비 등의 문제로 엔비디아의 납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삼성전자가 “현재 다수의 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지속적으로 기술과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며 “HBM의 품질과 성능을 철저하게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이날 순매도 1위는 이오테크닉스(039030)로 나타났다. 일진전기(103590), 제이시스메디칼(287410), GST(083450), 미코(059090) 등이 뒤를 이었다. 전 거래일 순매수는 한미반도체, 삼성SDI, JYP Ent.(035900), 티에스이(131290) 순으로 나타났다. 순매도는 알테오젠(196170), 디케이티(290550), 효성중공업(298040) 순으로 많았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고객 중에서 지난 1개월간 수익률 상위 1% 투자자들의 매매 종목을 집계해 실시간·전일·최근 5일 기준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상에서 공개하고 있다. 이 통계 데이터는 미래에셋증권의 의견과 무관한 단순 정보 안내이며 각각의 투자자 개인에게 맞는 투자 또는 수익 달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 테마주 관련종목은 이상 급등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심기문 기자 door@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