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해외직구 품질·안전성 검사 강화” 민간 검사 전문 기관과 협력

최연진 기자 2024. 5. 24. 09: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세훈 시장 “소비자·소상공인·자영업자 보호는 공공의 책무”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 쇼핑몰 직구 제품에 대해 체계적으로 품질·안전성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민간 검사 전문 기관과 손잡는다.

서울시는 24일 오전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 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FITI시험연구원, KATRI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알리·테무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의 저가 제품에 대한 안전성 강화는 국내 소비자 보호는 물론이고, 안전하고 정직하게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라며 “숨은 위협으로부터 시민들의 삶을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은 공공영역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1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박상진 소비자보호팀장이 인체발암 가능 물질이 검출된 해외직구 어린이용 머리띠와 시계를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서울시는 앞서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에 대한 시민 불안감이 커지자 지난 달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안전 확보 대책’을 세우고 매주 직구 품목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진행해왔다.

오 시장은 “6차례에 걸쳐 85개 제품을 검사해서 이 중 약 40%인 33개 제품에서 유해성을 확인했다”며 “우리 시의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안전성 검사 발표를 시발점으로, 정부 각 부처에서도 해외 직구 제품의 유해성을 인식하고 여러 대책을 마련해서 추진 중”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안전성 검사를 확대하고 유해성이 확인된 상품의 해외직구를 철저히 차단하겠다고 했다. 안전성 검사 비용은 서울시와 각 검사기관이 50%씩 부담한다. 식품용 기구, 위생용품, 화장품 등 품목에 대해서는 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검사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이번 협약 또한 다각적인 협력체계 확립의 시작이자 시민 안전이 더 철저하게 보장되는 선제적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