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5개월 만의 '한일중 정상회의'‥양자회담도

구승은 2024. 5. 24. 09: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30MBC뉴스]

◀ 앵커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이 이틀 뒤 서울에서 정상회의를 엽니다.

세 나라가 한자리에 모이는 건 4년 5개월 만입니다.

구승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가 오는 26일과 27일 이틀간 서울에서 만납니다.

대통령실은 첫날 한중, 한일 양자 정상회담을, 둘째 날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2019년 중국 청두에서 열린 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입니다.

[김태효/대통령실 국가안보실 1차장] "이번 정상회의는 한일중 세 나라가 3국 협력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고 정상화하는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대통령실은 회의에서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경제통상 협력 등 6대 중점 협력 방안을 논의해, 그 결과가 3국 공동선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관심은 한일 정상회담 의제에 라인야후 사태 문제가 포함될지 여부입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양국 정상이 각자 제기하고 싶은 의제가 있다면, 현장에서 제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논의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라인야후 사태 문제와 관련해, "협력 관계 속에서 해결할 수 있는데, 이게 '반일몰이'할 일이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의 협력 관계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지만, "어느 나라 대통령인지 의심스럽다"며 야당의 반발을 샀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에선, 중요 정보를 취급하는 민간인을 국가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참의원을 통과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됐습니다.

일본이 강력한 정보보호체계를 구축하며 자국의 경제안전 확보가 전략적 목표가 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조만간 열릴 회담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구승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승은 기자(gugiza@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930/article/6601320_36507.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