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교감 태도, 세계인 거듭나는 첫걸음[김헌·김월회의 고전 매트릭스]

2024. 5. 24. 09: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719년 영국의 작가 대니얼 디포는 일명 '로빈슨 크루소'라는 장편소설을 펴냈다.

미지의 세계를 향해 모험을 떠난 로빈슨 크루소가 큰 파도를 만나 난파하고, 무인도에 표류하면서 홀로 생활해야만 했다.

프라이데이의 입에서 나온 말이지만, 그 말을 전하는 로빈슨 크루소, 그리고 두 인물의 대화를 지어낸 대니얼 디포, 그의 소설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인 18세기 영국인과 유럽인들의 시각을 고스란히 반영한 말이다.

1967년 프랑스의 작가 미셸 투르니에는 로빈슨 크루소의 무인도 이야기를 새롭게 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6) 세계인의 날
■ 대니얼 디포 ‘로빈슨 크루소’· 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로빈슨 크루소의 하인 정말로 주인 섬겼을까 역전된 관계서 교훈
자기 문화에 집착땐 멸시·혐오 이어져 존중·이해 노력 절실
게티이미지뱅크

1719년 영국의 작가 대니얼 디포는 일명 ‘로빈슨 크루소’라는 장편소설을 펴냈다. 미지의 세계를 향해 모험을 떠난 로빈슨 크루소가 큰 파도를 만나 난파하고, 무인도에 표류하면서 홀로 생활해야만 했다. ‘세상에서 가장 탐욕스러운 수전노, 구두쇠라 할지라도 탐욕이라는 악덕을 깨끗이 치유할 수 있는’ 상황 속에서 그는 기독교 신앙을 붙들고 좌절을 딛고 일어섰으며 불굴의 의지와 성실함, 꾸준함으로 황량한 무인도를 개척하여 자신이 살던 유럽문화의 공간으로 일구어냈다.

식인의 습성을 가진 야만인들로부터 로빈슨 크루소가 구해낸 덜 야만적인 야만인 ‘프라이데이(금요일)’조차도 그의 위대함에 경의를 표하였고, 그 위대함을 가능하게 한 유럽 문명을 존경하며 기꺼이 배워나간다. 그 존경심은 그의 고유 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위대함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잘 나타난다. “하루는 그가 내게 만약 하느님께서 태양보다 높은 곳에 계시면서 우리의 기도를 들어줄 수 있는 분이시라면, 그분이 자신들이 믿는 ‘베나머키’보다 더 위대한 신이 틀림없다고 말했다. 베나머키는 그다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데도 자신들의 말을 듣지 못하며, 그 신에게 말을 하려면 그 신이 살고 있는 거대한 산에 올라가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프라이데이의 입에서 나온 말이지만, 그 말을 전하는 로빈슨 크루소, 그리고 두 인물의 대화를 지어낸 대니얼 디포, 그의 소설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인 18세기 영국인과 유럽인들의 시각을 고스란히 반영한 말이다. 그런데 정말로 프라이데이가 그렇게 로빈슨 크루소의 생활과 사고, 종교를 존경하고 감탄하며 자발적으로 모방하고 습득하려고 했을까.

1967년 프랑스의 작가 미셸 투르니에는 로빈슨 크루소의 무인도 이야기를 새롭게 썼다. 그 소설의 제목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에는 디포의 소설에서 주연이었던 로빈슨 크루소가 조연으로 밀려나고, 조연이었던 프라이데이, 즉 방드르디(금요일)가 전면에 부각된다. 유럽 문명에서 벗어난 극단의 공간에서 로빈슨 크루소는 ‘내가 그날그날 목적 없이 살고 되는대로 내버려 두면 시간은 손가락 사이로 새어 나가고 나는 나의 시간을 잃는다. 나 자신을 잃는다’는 실존주의적인 초조함을 이겨내려고 안간힘을 쓴다. 일기를 쓰면서 시간을 관리하고 성실하게 유럽 문명의 공간을 무인도에 재현해나간다. 그러나 로빈슨 크루소에게 나타난 방드르디는 그가 새로운 세계에 눈을 뜨게 만들어준다.

방드르디는 주인에게 고분고분하지만 주인을 존경하거나 그가 이루어놓고 누리는 것들에 대해 큰 관심이나 부러움이 전혀 없다. 그는 주인을 무시하듯 해맑게 웃고 폭소한다. 그 모습에 로빈슨 크루소는 당황스럽다. “그 웃음은 총독(=로빈슨 크루소)과 그가 통치하는 섬의 겉모습을 장식하고 있는 그 거짓된 심각성의 가면을 벗겨 뒤죽박죽으로 만든다. 로빈슨은 자기의 질서를 파괴하고 권위를 흔들어놓는 그 어린 웃음의 폭발을 증오한다.” 방드르디는 문명의 옷을 벗고 자연의 알몸으로 바람과 물과 흙을 즐기며, 새들과 짐승들과 교감한다.

그리고 우연한 사고로 화약고에 불을 붙인 방드르디는 로빈슨 크루소가 재현한 유럽 문명의 구조물들을 순식간에 날려 버린다. 망연자실한 로빈슨 크루소는 비로소 방드르디가 누리는 행복을 조금씩 알아가기 시작하면서, 방드르디를 기꺼이 배워나간다. 투르니에는 디포의 결론을 완전히 뒤집고, 로빈슨 크루소와 ‘금요일’ 사이의 관계를 역전시킨다.

자기 문화에 집착하면 다른 문화는 저급하게 느끼게 되고, 둘 사이에 갈등이라도 일어나면 멸시는 혐오로 사나워진다. 그러나 자신의 문화를 사랑하면서도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한다면, 특정 국적인으로 살아가면서 동시에 세계인이 되는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