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화 할 수 없는 것 계량화 하기: K팝 산업 죽이는 숫자 집착

2024. 5. 24. 0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팝의 크기는 어느 정도일까? 이 질문, 그리고 질문 뒤 이어지기 마련인 문화 현상을 숫자만으로 설명하고 답하려는 노력이 이 음악 장르를 천천히 죽이고 있는 독약일지도 모른다.

성급한 기업합병, 음악 프로듀서가 회사의 대표가 되는 신정 경영 구조, 그리고 음악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의 부재가 K팝이 현재 처한 위기를 가중시켰다.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How big is K-pop? That question — and ensuing efforts to answer it by describing a cultural phenomenon with numbers alone — may be the kryptonite that’s been slowly killing the genre.
HYBE’s Bang Si-hyuk, left, and ADOR CEO Min Hee-jin [HYBE, ADOR]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왼쪽)과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 [하이브, 어도어]

Quantifying the unquantifiable: K-pop’s obsession with numbers is killing the industry계량화 할 수 없는 것 계량화 하기: K팝 산업 죽이는 숫자 집착Korea JoongAng Daily 1면, 3면 기사Monday, May 13, 2024

How big is K-pop? That question — and ensuing efforts to answer it by describing a cultural phenomenon with numbers alone — may be the kryptonite that’s been slowly killing the genre.

ensue: 뒤따르다kryptonite: 크립토나이트: * 슈퍼맨을 약하게 만드는 가상의 물질

K팝의 크기는 어느 정도일까? 이 질문, 그리고 질문 뒤 이어지기 마련인 문화 현상을 숫자만으로 설명하고 답하려는 노력이 이 음악 장르를 천천히 죽이고 있는 독약일지도 모른다.

Of the countless reasons that experts suggest are behind the HYBE-ADOR brawl, one of the most cited is the industry’s obsession with “success” and the urge to prove that success with figures. brawl: 싸움, 논쟁cite: 인용하다, (이유, 예시를) 들다urge: 욕구, 충동

전문가가 꼽는 하이브 어도어 분쟁에 대한 수많은 원인 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것은 ‘성공’에 대한 업계의 집착과 이를 숫자로 증명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

Whether it be the number of albums sold, the size of a concert’s audience or the price of the company’s shares, K-pop promotion has long centered largely — if not entirely — on the quantifiable metrics associated with musicians and their work, rather than on music itself.

share: 주식promotion: 홍보quantifiable: 계량화 할 수 있는metric: 지표

앨범 판매량이든, 콘서트 관객 수이든, 기업의 주가이든 K팝 홍보는 음악 자체보다는 아티스트와 그들의 작업과 관련된 계량 가능한 지표에 상당 부분, 혹은 전적으로 집중돼 왔다.

Inevitable though it may be in a capitalist world, the compulsion to fatten numbers has led to reckless expansion without solidifying the foundations upon which the industry was built, experts say.

inevitable: 불가피한capitalist: 자본주의적인compulsion: 충동, 강박reckless: 무모한solidify: 굳히다, 공고히 하다 자본주의 세계에서는 불가피한 일이지만, 숫자를 키우려는 강박은 산업이 세워진 기반을 공고히 하지 못한 채 무모한 확장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Hasty mergers, a theocratic management structure wherein a music producer becomes the company's chairman and the absence of endeavors to truly understand musical culture have added up to a critical moment in K-pop — a defining point that could wake the industry up to a better future.

hasty: 성급한, 경솔한merger: 합병theocratic: 신정 (통치)endeavor: 노력

성급한 기업합병, 음악 프로듀서가 회사의 대표가 되는 신정 경영 구조, 그리고 음악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의 부재가 K팝이 현재 처한 위기를 가중시켰다. 지금은 K팝이 더 나은 미래로 가기 위해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결정적 순간이다.

HYBE’s self-applauded multilabel system has turned out to be a well-sharpened double-edged sword. The structure, in itself, wasn't a problem for HYBE — but the company's hasty and disorderly approach to it was.

self-applauding: 자화자찬하는double-edged sword: 양날의 검disorder: 난동, 무질서

하이브가 자화자찬한 멀티레이블 시스템은 날카로운 양날의 검이 됐다. 그 구조 자체가 하이브에 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성급하고 무질서한 접근 방식이 문제였다.

The multilabel approach of BigHit Entertainment, as HYBE was known before it changed its name in 2021, began in July 2019 when the company bought Source Music, the agency behind now-disbanded girl group GFriend, followed by Seventeen's Pledis Entertainment in May 2020. In 2018, Big Hit co-founded the label Belift Lab, in collaboration with Mnet, to debut a boy band.

disband: 해체하다

이러한 멀티레이블 접근법은 하이브로 이름을 바꾸기 전(2021년 기업명 변경)인 2019년 7월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현재는 해체된 걸그룹 여자친구의 소속사였던 쏘스뮤직을 사면서 시작됐다. 빅히트는 이어 2020년 5월 세븐틴의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다. 2018년엔 또 엠넷과 합작으로 빌리프랩을 설립하고 남자 아이돌 그룹을 데뷔시켰다.

Acquiring label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o diversify an artistic portfolio is a strategy that Hollywood's “Big Three” record companies — Universal Music Group, Sony Music and Warner Music Group — have employed since the 1960s.

acquire: 인수하다diversify: 다각화하다

장르적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다른 성격의 레이블을 인수하는 것은 할리우드의 '빅3' 음반사인 유니버설 뮤직 그룹, 소니 뮤직 그리고 워너 뮤직 그룹이 1960년대부터 구사해온 전략이다.

Korean entertainment firms, on the other hand, entered the global scene relatively recently, and HYBE is the only K-pop agency among the “Big Four”— which also includes SM Entertainment, YG Entertainment and JYP Entertainment — to adopt such a multilabel system.

relatively: 비교적adopt: 채택하다

반면 한국 연예기획사들은 비교적 최근 세계 무대에 진출했고, 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등 ‘4대 기획사’ 중 이와 같은 멀티 레이블 시스템을 채택한 K팝 기업은 하이브 뿐이다.

WRITTEN BY YOON SO-YEON, LEE JAE-LIM AND TRANSLATED BY YIM SEUNG-HYE [yoon.soyeon@joongang.co.kr, lee.jaelim@joongang.co.kr, yim.seunghye@joongang.co.kr]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