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평소 산만한 나도?…성인 ADHD 원인·치료법은?

이경희 2024. 5. 24. 08: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산만하다…', '어디로 튈지 모른다…' 어떻게 보면 엉뚱한 4차원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의학적으로 봤을 때는 하루빨리 치료를 받아야 할 질환일 수도 있습니다.

바로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인데요.

요즘 연예인들도 이 질환을 고백하며 낯설지 않은 질환이 되었죠.

혹시 나도 성인 ADHD가 아닐까 걱정되는 분들 계실 텐데요.

뉴스캐스터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수지 캐스터.

[캐스터]

오늘은 이민지 순천향대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만나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안녕하세요.

[캐스터]

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주로 어렸을 때 발병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요즘엔 성인에서도 이 질병이 발병한다고 합니다. 어떤 질환인가요.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지속적인 주의 집중력의 부족으로 인해서 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 등이 나타나는 질환인데요.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전두엽 기능의 저하로 인해서 통제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을 이야기합니다.

[캐스터]

어린이와 청소년 ADHD 그리고 성인 ADHD의 차이점이 있을까요?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진단을 할 때 몇 가지 충족해야 되는 기준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진단 기준을 사용하고요.

어린이 ADHD 같은 경우에는 과잉행동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성인기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이 잘 보이지 않아서 좀 다른 질환처럼 느껴질 수 있겠습니다.

어린이 ADHD가 성인기에서도 증상이 일부 남아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겠는데요.

기본적으로는 두 가지 질환 모두 같은 질환입니다.

[캐스터]

요즘 나도 혹시 성인 ADHD 아닌가라는 말하시는 분들 많으신 것 같습니다.

혹시 자가진단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까요?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성인 ADHD 자가 보고 척도를 사용해서 자신이 ADHD가 아닌지 가늠해 볼 수 있겠는데요.

일상생활 중에서는 자신이 일을 하면서 상사의 지시를 잘 잊는다거나 중요한 일들의 마감 시한을 잘 지키지 못한다거나 이를 계획적으로 조직해서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거나 자주 지각한다거나 이러한 증상 등을 통해서 자신의 주의 집중력이 떨어져 있지 않은지 이런 것들을 통해서 ADHD를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캐스터]

성인 ADHD의 원인이 따로 있을까요.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아직까지는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는데요.

일부는 유전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습니다.

부모가 ADHD가 있는 경우에는 자녀에서도 50% 정도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100% 다 유전으로만 전달되는 것은 아니고요.

어떠한 뇌의 기능적인 이상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또한 조산이나 뇌 손상 같은 것들이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었습니다.

[캐스터]

마지막으로 치료법도 궁금합니다.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치료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약물치료가 되겠는데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울, 불안, 불면이 있어도 주의 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들과 감별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그다음 자신이 일을 계획하거나 시간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은 시간 조절, 계획 세우기 등 인지행동 치료를 통해서 도움을 받아볼 수 있겠고요.

충동성이나 감정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때에도 인지행동 치료가 도움이 되겠습니다.

[캐스터]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이민지 /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감사합니다.

[캐스터]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강수지 캐스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