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도 200억 투자한 인도 유니콘 바이주스, 몸값 99% 추락

김남희 기자 2024. 5. 24.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이주스는 바이주 라빈드란이 2011년 아내와 함께 세운 온라인 교육 서비스 기업이다.

미래에셋그룹의 해외 사업 전략을 총괄하는 박현주 회장은 지난해 1월 뭄바이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 법인 15주년 기념 행사에서 "인도는 높은 교육열과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높은 자존감 그리고 영어 공용화 등의 환경으로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갖춘 나라"라고 평하며 인도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몸값 가장 비싼 유니콘 바이주스
기업 가치 220억 달러에서 2500만 달러로 추락
미래에셋, 200억 원 투자했다가 휴지조각 위기
미래에셋증권 본사. /김남희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200억 원가량 투자한 인도 온라인 교육 스타트업 바이주스(Byju’s)의 기업 가치가 폭락했다. 바이주스는 2022년만 해도 기업 가치가 220억 달러(약 30조 원)에 달해 인도에서 가장 몸값이 비싼 비상장 기업으로 등극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은 회계 부정, 채무 급증, 대출 미상환, 임금 체불 등 문제가 뒤얽혀 회사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이다. 기업 가치가 99% 넘게 깎이면서 미래에셋을 포함한 기관 투자자의 지분이 휴지조각이 될 위기에 처했다.

바이주스는 바이주 라빈드란이 2011년 아내와 함께 세운 온라인 교육 서비스 기업이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인터넷 강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도 최대 에듀테크 기업으로 각광받았다. 저커버그재단·세쿼이아인디아·블랙록·블랙스톤·카타르국부펀드·텐센트·IFC 등 전 세계 기관 투자자가 몰려들며 바이주스는 2022년 10월까지 약 50억 달러의 투자금을 끌어모았다. 당시 바이주스 기업 가치는 220억 달러로 평가됐다. 미래에셋증권 인도 법인(미래에셋캐피탈마켓)은 2021년 9월 시리즈 F 펀딩에 참여해 13억8000만 루피(약 214억 원)를 투자했다.

그러나 장밋빛 미래는 오래가지 못했다. 기업공개가 지연되는 사이 은행 대출 미상환, 임금 체불 등 문제가 불거졌다. 회계 장부 공개도 미루면서 회계감사를 맡았던 딜로이트는 지난해 6월 사임했다. 블랙록은 지난해 10월 회사가 보유 중인 바이주스 지분 가치를 95% 낮춰, 바이주스 기업 가치 평가액은 10억 달러 미만으로 곤두박질쳤다.

현재 주요 기관 투자자와 창업자 측은 법정 다툼을 벌이는 중이다. 지분 약 9%를 보유한 네덜란드 프로수스가 주도해 주주 총회에서 창업자인 라빈드란을 최고경영자직에서 축출했으나, 라빈드란이 이를 거부하면서다. 양측은 2억 달러 규모 신주 발행을 놓고도 법정에서 맞붙었다. 신주 발행을 가정한 바이주스의 기업 가치는 2500만 달러로, 2022년 최고 수준 대비 99.9% 낮아진 수준이다. 주요 주주들은 신주가 발행되면 자신들의 지분 가치가 제로가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도 투자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최근 3년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인도 주식형 펀드인 '미래에셋연금인디아업종대표증권자투자신탁1호(주식)'의 수익률(2024년 5월 23일).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은 그룹 차원에서 인도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의 해외 사업 전략을 총괄하는 박현주 회장은 지난해 1월 뭄바이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 법인 15주년 기념 행사에서 “인도는 높은 교육열과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높은 자존감 그리고 영어 공용화 등의 환경으로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갖춘 나라”라고 평하며 인도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해 10월엔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 법인 대표인 스와럽 모한티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켰다. 그룹에서 외국인이 부회장직에 오른 첫 사례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국내에서 운용 중인 ‘미래에셋연금인디아업종대표’ 펀드는 설정액 1145억 원으로, 국내 인도 주식형 펀드(공모) 중 운용 규모가 가장 크다. 최근 1년간 약 30% 수익률을 냈다.

미래에셋증권도 지난해 12월 인도 법인과 함께 인도 증권사 쉐어칸을 4800억 원에 인수하며 인도 사업을 확대했다. 자기자본으로 투자한 인도 비상장 기업도 수십 개에 달한다. 미래에셋은 네이버와 함께 조성한 1조 원 규모 펀드를 통해 인도 소셜미디어 셰어챗, 숏비디오 앱 트렐, 핀테크 앱 크레디트비 등에도 투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