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이 생겨도 괜찮아”… 관계 맺기엔 ‘용기’가 필요해

윤수경 2024. 5. 24.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가 서로 전혀 알지 못한다면, 접촉하고 만날 수 없다면 인류의 끊임없는 불화와 전쟁이 사라질까.' 조은오(24) 작가의 첫 장편소설인 '버블'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된다.

"사람과의 관계는 우리가 의식하는 것보다 많은 노력을 요하지만 결국에는 노력을 쏟을 가치가 있다"며 "조심스럽게 엮어 가는 관계의 모습을 '버블'에 담았고, 외롭고 편안한 자기만의 공간보다 갈등을 감수하고 얻는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작가의 말처럼 관계에는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버블/조은오 지음/창비/292쪽/1만 4000원
자신을 가두던 ‘버블’ 터트리기
마음 문 닫힌 청춘을 향한 위로

‘우리가 서로 전혀 알지 못한다면, 접촉하고 만날 수 없다면 인류의 끊임없는 불화와 전쟁이 사라질까.’ 조은오(24) 작가의 첫 장편소설인 ‘버블’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된다.

작품 속에는 ‘중앙’과 ‘외곽’이라는 상충하는 두 공간이 등장한다. 중앙은 각자의 버블 속에 살면서 인간이 개인으로 존재할 때 가장 행복하다고 믿는 곳이다. 상대방을 함부로 만지지 않고 감정을 멋대로 쏟아 내지 않으며 서로의 독립성을 존중해 주는 공간. 이곳의 제1규칙은 눈을 감는 것이다. 시야가 가려지면 친구와 적을 구별할 수 없고, 구별할 수 없다면 싸울 수도 없다는 논리다. 반면 외곽은 관계 맺기를 통해 갈등을 빚으며 살아가는 곳이다.

07이라는 번호가 붙은 주인공은 중앙에 살지만 이런 규칙을 어려워하는 ‘눈을 뜬 존재’다. 완벽한 세계에 07은 하나의 균열과 같다. 균열은 안정을 해치지만 반대로 견고하게 가려졌던 진실을 드러나게 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197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그린 황석영 작가의 ‘삼포 가는 길’에서 ‘백화’가 그랬던 것처럼 수백 년간 이어진 전쟁에서 살아남은 1퍼센트 인류 07 역시 이름을 밝히며 익명성에 돌을 던진다. 갈등을 감수하고서라도 관계를 맺겠다는 의지, 새로운 세계로 진입하겠다는 용기의 발현에서 전복이 탄생한다.

“내 발걸음을 막는 진짜 버블보다는, 보이지 않는 버블이 더 위험해. 내 마음 먹기에 따라서는 버블로 가득한 중앙에도 버블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거지.”(277쪽)라는 주인공의 말은 자못 의미심장하다. 자신을 가두던 알을 깨고 새로운 세계로 날아오르는 특별함이 아름답게 느껴진다.

“사람과의 관계는 우리가 의식하는 것보다 많은 노력을 요하지만 결국에는 노력을 쏟을 가치가 있다”며 “조심스럽게 엮어 가는 관계의 모습을 ‘버블’에 담았고, 외롭고 편안한 자기만의 공간보다 갈등을 감수하고 얻는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작가의 말처럼 관계에는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관계 때문에 마음의 문을 닫고 싶은 청춘에게 사람을 만나고, 좋아하고, 실망하고, 반목하다 화해하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닿길 바란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