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의례를 갈망하는 인간

이순녀 2024. 5. 24.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심지어 죽은 이후에도 우리가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있다.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의례가 없다면 사회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까지 했다.

책 '인간은 의례를 갈망한다'는 사회심리학과 뇌과학 방법론으로 의례의 기능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보기 드문 책이다.

인간 삶의 모든 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의례 행위는 공동체를 끈끈하게 이어 붙이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의례를 갈망한다/디미트리스 지갈라타스 지음/김미선 옮김/민음사/408쪽/2만원
공동체 끈끈하게 만들어 준 의례
불안의 시대에 맞는 새 의례 생각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심지어 죽은 이후에도 우리가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있다. ‘의례’라는 이름의 오랜 공동체적 관행이다. 모든 문화권에는 탄생, 성년, 졸업, 결혼, 사망 등 생애 주요 단계와 변화를 표시하는 ‘통과의례’가 존재한다. 이에 더해 국가 차원의 의례, 종교적인 의례, 문화·예술 행위와 연관된 의례 등 종류와 형식도 참으로 다양하다.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의례가 없다면 사회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까지 했다.

사실 의례는 효율성이나 합리성 측면에서 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구석이 많다. 기우제 춤을 춘다고 비가 오는 것도 아니고, 저주 인형 찌르기로 멀리 있는 누군가를 해칠 수도 없다. 행위와 목표 간 인과관계가 불투명하다. 길거리에 매트리스를 깔고 갓난아기들을 눕힌 뒤 악마 복장을 한 남자들이 그 위를 뛰어다니는 스페인 어느 마을의 탄생 의례나 산 사람의 거처보다 훨씬 화려하게 무덤을 꾸미는 장례 의례 등은 기이하기조차 하다.

그런데도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의례를 이어 온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코네티컷대 인류학·심리학과 조교수이자 실험인류학연구소장인 저자는 자신의 특기인 실험과 현장 연구를 통해 어릴 적부터 품어 온 오랜 의문을 탐구했다. 책 ‘인간은 의례를 갈망한다’는 사회심리학과 뇌과학 방법론으로 의례의 기능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보기 드문 책이다.

저자가 보기에 “우리가 의례를 수행하는 데 끌리는 이유는 단지 그러기 좋아서가 아니라 그럴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 삶의 모든 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의례 행위는 공동체를 끈끈하게 이어 붙이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스페인의 산페드로 마을, 인도양의 모리셔스섬에서 행해지는 ‘불 건너기 의식’에 직접 참여한 저자는 이런 극한 의례가 참가자들을 의례의 일부로 만들어 하나가 됐다는 연대감이 고양되는 체험을 했다. 이는 심리적 수준을 넘어 행동에서도 변화를 만들어 낸다. 순례자 의례의 고통이 클수록 신도들이 자선단체에 기부금을 더 많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졸업식을 치르고, 인적이 없는 산꼭대기에서 결혼식을 여는 등 의례를 지켜 왔다. “인간은 의례적인 종”이라는 책의 주제를 뒷받침하는 단적인 사례다. 저자는 묻는다. 기후 위기와 정치 불안이 가속화하는 시대에 인간 본성인 연대의 힘을 슬기롭게 활용할 새로운 의례는 무엇인가.

이순녀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