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제고 열쇠 스마트축산 2027년까지 40%로”

이민우 기자 2024. 5. 24.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마트축산은 축산업계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잠재 역량을 발휘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대안입니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농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축산업을 둘러싼 현장문제가 점차 복합적으로 나타나 스마트축산이 해결책으로 떠올랐다"며 "정부는 스마트축산 보급에 앞장서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축산이 뜬다] (10)·끝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 인터뷰
생산성 향상·냄새 저감 등 위해
축종별 우수모델 7월부터 보급
정부지원사업 진입장벽도 낮춰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이 스마트축산 확산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은 축산업계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잠재 역량을 발휘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대안입니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농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축산업을 둘러싼 현장문제가 점차 복합적으로 나타나 스마트축산이 해결책으로 떠올랐다”며 “정부는 스마트축산 보급에 앞장서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정책관이 꼽은 해결이 시급한 문제는 ▲사료값 인상 ▲노동력 부족 ▲냄새·탄소 발생 ▲가축질병 상시화 등이다. 축산농가에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무겁게 지우는 것들로, 관행적 방법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는 게 김 정책관의 진단이다.

그는 “예를 들어 스마트축산을 도입한 경기 평택 ‘로즈팜’은 생산비를 일반 농가 대비 18.9%나 낮췄고, 냄새 제로(0)화에도 성공했다”며 “국내 다른 스마트농가들 또한 생산성 향상 등에서 성과를 내 이를 확산할 필요성이 대두됐다”고 설명했다.

김 정책관의 공언대로 올해는 축산분야 스마트화가 신속하게 자리 잡는 원년으로 기억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정부는 2014년부터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확산사업’ 등을 통해 지난해까지 전국 7265농가에 스마트축산을 보급했다. 10년간 추진했지만 보급률은 전업 축산농가(3만1506곳)의 23%에 그친다.

정부는 기존에 설치된 축사 자동화 장비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한 2세대로 전환하게 도와 스마트축산 보급률을 2027년 40%(약 1만3000곳)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올 3월 내놓은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중 첫번째 핵심과제이기도 하다.

김 정책관은 “분야·축종별 ICT 장비세트와 운영 솔루션이 결합한 우수모델 20개가량을 발굴해 7월부터 패키지 형태로 보급할 예정”이라면서 “축산분야 데이터를 민간 영역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10월까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 시범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축산과 관련한 정부 지원사업에 진입장벽도 낮춘다는 방침이다. 현재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 지침엔 지원자격과 요건 등이 규정돼 있다. 예를 들어 농장에 대한 전산기록을 1년 이상 관리하거나 가축공제 가입, 스마트축산 현장 교육 참석 등 요건을 만족하면 사업 대상 선정 때 가점을 부여하는데, 신규 진입농에겐 불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김 정책관은 “청년농과 현장 간담회를 해보니 기술 발전과 현장 여건 등에 따라 사업지침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지속적인 소통으로 규제를 완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박차를 가한다. 해당 기자재·솔루션 사업체가 경쟁력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이다. 국내 스마트축산의 해외 진출도 적극 돕는다.

김 정책관은 “수출을 추진하는 국내 스마트축산 관련 기자재업체에 한곳당 최대 50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의 대상 기업을 올해 대폭 늘렸고, 유망업체들의 국제 박람회 참여도 시범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면서 “4월 출범한 ‘스마트축산 수출지원단’을 통해 전문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스마트축산 구축에 걸림돌로 지적되는 지방자치단체와 축산농가 간 갈등에 대해선 관련 기관과 협업을 강화해 대처해나가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김 정책관은 “지자체가 환경을 보호하고 정주여건을 개선하고자 가축사육 제한구역을 자체적으로 지정해 신규 축사 설치를 불허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면서도 “최근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스마트축산농 사례 또한 적지 않은 만큼 우수 사례를 발굴·확산해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