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닮아가는 한반도 날씨

박상현 기자 2024. 5. 24. 01: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청 분석, 올해 폭염 예고
/연합뉴스

올여름 한반도 날씨가 동남아를 방불케 할 전망이다. 뜨겁고 축축한 바람이 우리나라로 대거 불어오면서 날이 맑을 땐 습식 사우나에 갇힌 듯 덥겠고, 비가 내릴 땐 강수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3일 ‘올 여름철(6~8월) 기상 전망’에서 올여름 기온과 강수량이 평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80%라고 밝혔다. 작년 여름 우리나라는 이른 열대야(6월), 집중호우와 홍수(6~7월), 폭염(7~8월) 등을 겪은 바 있다. 그런데 올여름이 더 혹독할 것으로 예상된 것이다.

우리나라 여름철 기온은 열대 서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곳의 해수면 온도는 올봄 내내 예년보다 높았고, 고수온 현상은 여름이 끝날 때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되고, 고온다습한 남풍(南風)이 더 많이 불어오는 기압계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미 더운데 뜨거운 바람까지 불어와 기온이 더 올라가는 것이다.

올여름엔 비의 씨앗이 되는 수증기가 원활히 공급되면서 강수량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극한호우’가 나타날 수도 있다.

결국 올여름 한반도엔 더 덥고, 더 끈적이며, 비가 한 번 내릴 때 억수같이 쏟아지는 동남아 유형의 날씨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작년처럼 며칠은 수백㎜의 극단적 강수가 내리다가, 다시 며칠간은 한낮 체감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극단적 폭염이 오는 ‘극과 극 날씨’가 나타날 가능성도 크다.

작년 발생한 엘니뇨(태평양 특정 구역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5도 이상 올라가는 현상)를 비롯해 작년 한 해 해수면 온도가 역사상 가장 뜨거웠고, 그 여파로 기온도 올라가고 강수량도 많아졌다. 엘니뇨는 발생한 해보다 그 이듬해 여파가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올여름까진 뜨거운 바다가 이상고온과 극한호우를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최근 동남아 지역에 40도가 넘는 폭염, 아랍에미리트 홍수 등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빈발한 가운데, 우리나라도 평년보다 덥고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여 기상 재해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