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만드는 틀 베이스 다이에 왜 ‘die’ 단어가?

김나영 기자 2024. 5. 24. 00: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깨알지식 Q]
SK하이닉스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 'HBM3E'/SK하이닉스

인공지능(AI) 발전과 함께 최근 첨단이라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에 관한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가 강점을 가졌다는 HBM 반도체는 미국 엔비디아가 가장 잘 만드는, AI에 최적화된 비(非)메모리 반도체인 GPU(그래픽 처리 장치)와 잘 호환돼 AI 성능을 늘릴 수 있는 반도체라고 한다. HBM은 여러 개의 메모리 반도체를 쌓아서 만드는 것이 특징인데, 이렇게 쌓은 반도체들의 1층을 ‘베이스 다이(base die)’라 부른다.베이스는 기반이라는 뜻이지만, 다이는 ‘죽다’는 의미로 흔히 쓰이는데 왜 하필 이 단어를 썼을까.

영어 단어 ‘다이’는 동사로 쓰면 ‘죽다’라는 뜻이지만, 명사로 사용할 때는 ‘틀·금형(金型)’라는 의미가 있다. 반도체 업계에선 웨이퍼를 절단해 만드는 작은 사각형 조각을 다이라고 부른다. 일본어로 받침을 뜻하는 ‘다이(臺)’와 발음이 비슷해 ‘베이스 다이’가 일본어인 줄 아는 이들도 있지만 일본어와는 무관하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