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전국 최초 ‘부분 휴경제’ 도입…철원군, 벼 감산 기대

이청초 2024. 5. 23. 23: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강릉] [앵커]

방금 전해드린 정부의 전략작물직불제 외에도 철원에서는 전혀 다른 방식의 쌀 감산 정책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올해 처음 도입된 '부분 휴경제'인데요.

어떤 제도인지 이청초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찰랑찰랑 물이 찬 논입니다.

모가 일렬로 줄을 맞춰 서있습니다.

일반적인 모내기는 이렇게 논의 가장자리까지 모를 빽빽하게 심어두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바로 옆 논의 모습은 조금 다릅니다.

열 줄씩 나란히 이어지던 모가 한 줄이 통째로 끊겨있습니다.

마치 논 중간에 고랑이 파여있는 듯합니다.

또 다른 논은 가장자리가 '디귿' 모양으로 텅 비어있습니다.

벼를 일정 구간 심지 않은 '부분 휴경'을 한 겁니다.

철원군이 올해 처음 도입한 제도입니다.

[주남수/'부분 휴경' 농민 : "쌀 소비는 덜 되고, 나오는 양은 많고, 그래서 농사가 어느 정도 되는 사람은 거기(쌀 감산 정책)에 일조하려고 그래서 신청을 해봤는데…."]

기존에는 쌀 감산을 위해 논 전체 휴경을 해 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논이 잡초로 뒤덮이면서 지력이 약해지는 부작용이 생겼습니다.

또, 휴경의 대가로 정부의 직불금을 받으려면 논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데, 그럴 바엔 차라리 벼를 그대로 심겠다는 농민이 더 많았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게 철원군의 '부분 휴경제'입니다.

휴경한 면적만큼 보상금도 지원합니다.

보상금은 1제곱미터에 750원.

농민 입장에선 논 관리와 쌀 감산, 직불금 수령 등 1석 3조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올해 신청 농가는 150여 곳, 면적 33만 제곱미터입니다.

쌀 237톤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양행진/철원군 농산양정팀장 : "쌀 생산량이 늘어나면 전체 전국적인 쌀값이 떨어지거든요. 그 소득이 감소하는 부분을 부분 휴경제를 함으로써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싶었던 거죠."]

철원군은 앞으로 외부 기관에 연구를 맡겨 부분휴경제를 통한 쌀 감산 효과를 분석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김태원

이청초 기자 (chocho@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