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곡한 초대[이준식의 한시 한 수]〈265〉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4. 5. 23. 2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들어 한(韓) 대감께서 저를 멀리하신다는 걸 제가 잘 알지요.

한때는 나지막이 시 읊으며 달빛을 거닐고, 한가로이 술에 취해 꽃을 즐기기도 했었는데.

(近來韓閣老, 疏我我心知. 戶大嫌甜酒, 才高笑小詩. 靜吟乖月夜, 閑醉曠花時. 還有愁同處, 春風滿鬢絲.)―'오래 한유 대감을 못 뵈어 시 한 수를 긁적여 보내다(久不見韓侍郞, 戱題四韻寄之)' 백거이 주량과 시재(詩才)를 비교하며 상대가 자신을 홀대한다고 투정하듯 불평하는 시인.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즘 들어 한(韓) 대감께서 저를 멀리하신다는 걸 제가 잘 알지요.
주량이 세시니 저희 집 단 술이 못마땅하실 테고, 재주 빼어나시니 보잘것없는 제 시가 우습겠지요.
한때는 나지막이 시 읊으며 달빛을 거닐고, 한가로이 술에 취해 꽃을 즐기기도 했었는데.
우리가 똑같이 가진 걱정 하나, 봄바람 속 어느덧 귀밑머리가 허옇게 세었다는 것.
(近來韓閣老, 疏我我心知. 戶大嫌甜酒, 才高笑小詩. 靜吟乖月夜, 閑醉曠花時. 還有愁同處, 春風滿鬢絲.)

―‘오래 한유 대감을 못 뵈어 시 한 수를 긁적여 보내다(久不見韓侍郞, 戱題四韻寄之)’ 백거이





주량과 시재(詩才)를 비교하며 상대가 자신을 홀대한다고 투정하듯 불평하는 시인. 거침없이 쏟아내는 어투로 보아 둘 사이가 영 데면데면하지는 않은 듯하다. 한유(韓愈)가 백거이보다 네 살 많고 직급도 더 높았지만 둘은 지금 같은 조정에서 관직을 맡은 처지. 후배에게 이 정도쯤의 천연스러운 농담은 용인되었을 법하다. 둘 관계가 정말 소원했다면 후배가 이리 당돌하게 나오진 않았을 테니까. 그 옛날 달빛 아래 시도 읊고 술도 마시며 꽃을 감상하던 추억을 되살리며 시인은 은근히 선배를 유혹하고 있다. 속절없이 세월이 흐르고 ‘봄바람 속 어느덧 귀밑머리가 허옇게 세었다’는 공통의 근심을 함께 나누자는 뜻을 이 완곡한 초대장에 담고 싶었던 것이다.

한유와 백거이는 각각 당대 산문과 시의 독창적인 경지를 개척한 문호. 그러나 시만은 그 기풍이 판이하게 달랐으니 한유가 기이하고 난해한 자구를 애용한 반면 백거이는 쉽고 통속적인 시어를 즐겨 썼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