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근거지’ 놀림받고 우는 아들, 국내여행은 싫다네요”…‘땡처리’ 찾는 가장의 고민

2024. 5. 23. 2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넉넉하지 않은 환경에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초등학생 아들이 친구들에게 '개근 거지'라는 놀림을 받았다는 가장의 사연이 전해졌다.

'개근 거지'는 학기 중 체험학습과 해외여행 등을 가지 않고 꾸준히 등교하는 학생을 비하하는 신조어다.

초등학교 4학년생 아들을 둔 아버지 A 씨는 "어제 아들이 '친구들이 개거라고 한다'고 울면서 말했다"며 "개거가 무엇인가 했더니 '개근거지'더라"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123RF]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넉넉하지 않은 환경에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초등학생 아들이 친구들에게 '개근 거지'라는 놀림을 받았다는 가장의 사연이 전해졌다.

'개근 거지'는 학기 중 체험학습과 해외여행 등을 가지 않고 꾸준히 등교하는 학생을 비하하는 신조어다. 이 남성은 "요즘 비교문화가 극에 달한 것 같다"며 허탈해했다.

23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개근거지라는 게 그냥 밈인 줄 알았는데 우리 아들이 겪어버렸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초등학교 4학년생 아들을 둔 아버지 A 씨는 "어제 아들이 '친구들이 개거라고 한다'고 울면서 말했다"며 "개거가 무엇인가 했더니 '개근거지'더라"라고 했다.

A 씨는 현재 외벌이를 하고 있다고 했다. 월 실수령액은 300만~350만원, 생활비와 집값을 갚으면 여유 자금이 없는 형편이라고 덧붙였다.

A 씨는 학기 중 체험 학습이 가능하다는 안내는 받았는데, 안 가는 가정이 그렇게 드물 줄은 생각도 못했다"고 했다.

A 씨는 "경주나 강릉, 양양 같은 곳을 알아보자고 컴퓨터 앞에 데려갔는데 '한국 가기 싫다'고 '어디 갔다 왔다고 말할 때 쪽팔린다'고 한다"며 "체험학습도 다른 친구들은 괌, 싱가폴, 하와이 등 외국으로 간다고 하더라"라고 했다.

A 씨는 아내와 상의 끝에 결국 아내와 아들 둘이서만 해외로 가기로 하고, 현재 '땡처리' 항공권을 알아보고 있다고 했다.

A 씨는 "당연히 모든 세대만의 분위기나 멍에가 있겠지만, 저는 그냥 없으면 없는 대로 자라고 부모께서 키워주심에 감사하면서 교복도 가장 싼 브랜드 입고 뭐 사달라고 칭얼거린 적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이는 최신 아이폰에 아이패드까지 있다. 제 핸드폰은 갤럭시S 10"이라며 "요즘 정말 비교 문화가 극에 달한 것 같다. 결혼 문화나 허영 문화도 그렇고 참 갑갑하다. 사는게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진짜라면 씁쓸한 현실", "초등학생들이 아빠 연봉을 자랑하는 시대", "차별과 비교에 물든 문화" 등 반응을 보였다.

한편 실제로 지난 12월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패밀리스토밍' 자리에 초대된 청년 세대 '무자녀 부부' 12명도 '개근 거지' 행태를 거론했다.

한 참가자는 "오죽하면 개근하는 아이들을 여행을 못 가는 거라고 비하하는 '개근 거지'라는 말까지 나왔겠느냐"며 "아이들끼리 비교하는 문화가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이를 학교에 태우고 갔을 때 아이 기가 죽을까봐 무리해서라도 외제차로 바꾼다는 부모들이 있다고 해 걱정이다"라는 고충도 있었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