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열풍 속 슬기로운 '비건 생활' 중요

2024. 5. 23. 20: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지민 앵커>

요즘 건강을 위해 혹은 체중 감량을 위해 채식 하는 분들 많으신데요.

하지만, 무작정 시작하기 보다는 제대로 알고 실천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올바른 비건 문화 정착을 위한 비건 박람회를 정의정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정의정 국민기자>

서울의 한 박람회장.

식품에서 생활용품까지 비건의 모든 것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고기가 들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식품은 육류가 전혀 들어있지 않지만, 식감이 고기를 먹을 때와 같습니다.

현장음>

"'버섯고기 미트'입니다. 버섯고기로 만든 점심메뉴를 판매하고 있으니까 맛보고 가세요."

"감자랑 이것저것 갈아가지고요. 다시 원육으로 만들어서 이렇게 결을 구현했고요."

두부와 콩 등의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이용해 만든 식품입니다.

고기와 맛이 비슷하고 영양이 풍부해 처음 채식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허주원 / 경기도 파주시

"아내가 요새 관심이 많아서 따라와 봤습니다. (채식하니까) 더부룩하거나 그런 게 잘 없고 가볍다는 것을 많이 느끼고 있고요. 다이어트보다 그냥 건강식 위주로 잘 챙기는 게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비건 식품은 단순히 맛이나 재료에만 신경을 쓰는 것이 아닙니다.

건강과 영양을 담은 다양한 식품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현장음>

"양파스타, 그리고 이것은 옐로우 커리, 그다음에 이거는 당근인데 훈제 연어처럼 당근을 만들 수 있어요."

인터뷰> 이충희 / 지구를위한노래 대표

"일반식을 하더라도 다이어트할 때 하나만 먹는다거나 급격하게 섭취를 안 하면 위험하잖아요. 비건이 무조건 건강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으셨으면 좋을 것 같고 비건하면 풀만 먹는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있어요. (비건) 일상식도 맛있고 풍부하게 먹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정의정 국민기자

"비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비건 상품이 개발되고 있는데요."

비건 상품은 샴푸·비누 치약 등 친환경 생활용품과 업사이클링 제품 등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신뢰성 있는 제품들이 생산·판매될 수 있도록 비건표준인증원도 설립됐습니다.

인터뷰> 이인성 / 비건표준인증원장

"저희는 동물복지·건강·환경 이런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 제품에 대하여 신뢰도 높은 검증 절차를 통해서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하여 인증해 주는 인증기관입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비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채식을 하는 방법부터 건강 관리까지 슬기로운 비건 문화 실천을 위한 설명회도 관심을 모았습니다.

인터뷰> 김은경 / 서울시 광진구

"(영양의) 균형은 (살을) 빼고 나서 맞추려고... (비건 식품) 먹으면서 그 이야기를 했었어요. (영양)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 고기에서 주는 영양소가 있으니까 안 먹은 경우에 어떻게 할지에 대한 생각은 조금 더 해봐야 될 것 같아요."

인터뷰> 엄춘식 / 하나로의료재단 외래클리닉센터장

"(고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영양소를 대체 음식을 먹다 보면 많은 양을 드셔야 하는데 버섯에서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D로 섭취하려면 버섯을 이만큼 먹어야 돼서 현실적으로 그러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그래서 골고루 식사를 잘하되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서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우리 몸속에 쓸데없이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태우는 게 있기 때문에 1시간 정도 꾸준히 땀 흘리는 유산소 운동을 해 준다면 건강 유지하는 데 도움은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식품을 비롯해 비건 인증 제품 수도 2,500여 개에 달할 정도로 큰 폭을 증가했는데요.

이번 박람회에도 국내외 115개 관련 업체가 참여해 다양해지고 있는 생활 속 비건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뷰> 강혜림 / 코리아비건페어 주최사무국

"비건페어를 통해서 관람객들이 비거니즘과 더 가까워지고 나아가서 동물복지나 기후 위기라는 가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전달하고자..."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국내 비건 인구는 2022년 기준 250만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는데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기후 위기 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건은 식생활뿐만 아니라 뷰티, 생활용품으로 그 지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정의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