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여담] 三思而行 <삼사이행>

박영서 2024. 5. 23. 18: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석 삼, 생각 사, 말이을 이, 걸을 행.

'여러번 생각한 후에 말하라'는 삼사일언(三思一言), '숙고한 후에 행동하라'는 삼사일행(三思一行)과 비슷한 맥락이다.

맹모삼천(孟母三遷), 삼고초려(三顧草廬)에서도 보듯이 신중하며 정성스런 행동을 말할 때 '三'을 자주 사용한다.

계문자 같은 인물도 여러번 생각한 후에 행동했으니 한낱 범부인 우리들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석 삼, 생각 사, 말이을 이, 걸을 행. 3번 생각한 뒤에 행동한다는 뜻이다. 무슨 일이든 성급하게 행하면 실패하기 쉬우니, 심사숙고(深思熟考)하라는 의미다. '여러번 생각한 후에 말하라'는 삼사일언(三思一言), '숙고한 후에 행동하라'는 삼사일행(三思一行)과 비슷한 맥락이다. 여기서 '三'은 '많다'라는 뜻을 갖는다. 맹모삼천(孟母三遷), 삼고초려(三顧草廬)에서도 보듯이 신중하며 정성스런 행동을 말할 때 '三'을 자주 사용한다.

삼사이행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편에 나온다. 노(魯)나라에 계손행부(季孫行父)라는 대부(大夫)가 있었다. 공자보다 한 세대 윗사람으로, 후에 계문자(季文子)라 칭송받은 인물이다. 그는 항상 신중하게 생각해 결정을 내렸다. 그러니 행동에 있어 실수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계문자는 세 번 생각한 후에 비로소 행동했다. 그분 정도라면 두어번만 생각해도 괜찮았을 것이다.(季文子三思而後行 再斯可矣)"

고려시대 문신 이규보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 "섣불리 생각하지 말라. 섣불리 생각하면 틀리기 쉽다(思之勿遽 遽則多違)"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생각하고 일을 처리했더라면 어찌 화(禍)가 따를 리 있겠는가"라고 자책한다.

"두 번이면 된다"는 공자님 말씀이나, "섣불리 생각말라"는 이규보의 조언이나 그 취지는 같다. 이치를 잘 따져 신중하게 생각해 행동하라는 것이다. 계문자 같은 인물도 여러번 생각한 후에 행동했으니 한낱 범부인 우리들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가수 김호중이 '음주운전·뺑소니'로 인생 최대 위기를 맞았다. 많은 팬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온 공인의 모습이라기엔 너무나 초라하다.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는 법이다. 한 번 행동하기 전에 세 번을 생각해 보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박영서 논설위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