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뵙네요. 참 많이 그리웠습니다”…노무현 15주기 추도식

김정훈 기자 2024. 5. 23. 17: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이 열리는 23일 오전 시민이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돌아가신 지 15년이 지나서야 다시 찾아뵙게 됐다…참 많이 그리웠다.”

23일 고 노무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이 열린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는 아침부터 서울·대구·경남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추모객들의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새벽부터 드문드문 추모객들이 모여들더니 오전 9시부터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눈에 띄게 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이 열리는 23일 오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묘역 주변으로 윤석열 대통령, 문재인 전 대통령,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가 보낸 조화가 놓여 있다. 김정훈 기자

추모객들이 늘어나며 봉하마을 곳곳에는 혹시 모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 인력이 배치됐다. 대통령 경호처, 경찰특공대 폭발물처리팀도 탐지견을 동원해 묘역 주변과 행사장인 생태문화공원 무대를 점검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묘역 입구에는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시들로 채워진 시벽이 세워져 있었다. 추모객들은 시벽을 지나 생가 옆 노 전 대통령 사진 패널 옆에 서서 사진을 찍거나 노 전 대통령의 생가를 둘러봤다.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모객들이 노 전 대통령 사진 패널 옆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정훈 기자

묘역 앞 한 나무에는 ‘지지 않는 시대정신 노무현’ ‘아직도 많이 그립습니다’라는 글이 적힌 노란 종이들이 곳곳에 매달려 있었다.

추도객들은 이른 아침부터 묘역을 찾아 하얀 국화를 들고 참배에 나섰다. 새벽 5시쯤 부산에서 출발했다는 권모씨(60대) 부부는 “그동안 먹고사느라 못 왔는데, 장사를 접고 늦게나마 남편과 같이 오게 됐다”며 “묘역을 참배하고, (노 전 대통령의) 많은 흔적을 보니 가슴이 뭉클하다”고 말했다.

묘역 입구에는 윤석열 대통령, 문재인 전 대통령과 여야 대표, 정치권 인사들의 조화가 늘어섰다.

시민들이 다녀간 헌화대에는 금새 참배객들이 놓아둔 국화가 수북하게 쌓였다.

김성화씨(48·충북)는 “노 전 대통령이 돌아가신 해에 아들이 태어나서 못 왔다”며 “이번에 아들하고 같이 추모하게 돼 마음의 빚을 내려놓은 것 같다”고 말했다.

매년 추도식에 참석한다는 박모씨(70대·경남 밀양) 부부는 “자주 남편과 함께 묘역을 찾는다”며 “‘깨어 있는 시민의 힘’이라는 노 전 대통령의 정신을 되새기며 대한민국이 발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23일 추모객들이 경남 김해 봉하마을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정훈 기자

노무현재단은 추모객들을 위한 물품도 마련했다. 묘역 입구 부스에서 자원봉사자들은 15주기 추모 구호인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라는 글자를 새긴 종이모자를, 노사모는 떡 3000개와 음료수를 나눠줬다.

15주기 추모 구호는 노 전 대통령이 2004년 12월 6일 프랑스 소르본 대학교에 초청받았을 때 연설의 한 구절이다. 시대와 세대를 넘어 민주 시민 모두에게 필요한 실천적 가치를 담겨 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초청 연설에서 “역사는 여러분에게 묻습니다. 역사로부터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미래를 꿈꾸고 있는가? 지금 여러분의 생각과 실천이 바로 내일의 역사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23일 추모객들이 경남 김해 봉하마을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에서 추모 포스팅을 하고 있다. 김정훈 기자

이날 오후 2시부터 진행된 15주기 추도식에서 상영된 주제 영상에서도 ‘지금 여러분의 생각과 실천이 내일의 역사가 될 것입니다’라는 노 전 대통령의 육성이 흘러왔다. 추모객들은 환호와 박수로 응답했다.

추도식은 1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추도객들은 행사장에 설치된 2500개 의자를 가득 채웠다. 노무현재단은 추모객 규모를 5000명 가량으로 추산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22년부터 3년 연속으로 추도식에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 명의의 추모 화환과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보내 애도를 표했다.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봉하마을에 대거 집결했다.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