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하이브-어도어 사태, 김호중 뺑소니 논란은 사회 병리현상"

정민아 2024. 5. 23. 16: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최근 불거진 '하이브-어도어 사태'와 가수 김호중의 '음주 뺑소니' 혐의에 대해 "사회적 병리현상. 정말 걱정도 되고 실망도 된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유 장관은 오늘(23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문체부 정책 현안 브리핑'을 열고 문체부 현안, 정책과 관련해 기자들과 소통했습니다.

또한 유 장관은 경복궁의 광화문 현판 한글화 논의와 관련해서도 "한글날을 기점으로 뭔가 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월 정례 브리핑으로 소통 강화…하이브 사태·김호중 사건에 "사회적 병리현상, 걱정돼"
"안무 저작권 지침 의견 수렴, 음원 사재기 의혹 민원 조사 중"
유인촌 문체부 장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사진=연합뉴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최근 불거진 '하이브-어도어 사태'와 가수 김호중의 '음주 뺑소니' 혐의에 대해 "사회적 병리현상. 정말 걱정도 되고 실망도 된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유 장관은 오늘(23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문체부 정책 현안 브리핑'을 열고 문체부 현안, 정책과 관련해 기자들과 소통했습니다.

그는 "K-팝도 잘 가고 있지만 그 마음속에 욕심이 있는 것"이라며 "서로 내가 잘했다고 얘기하는 것이 계속 (한류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며 "김호중 가수도 왜 그랬는지 안타깝다. 문체부로서는 (정책적으로) 좋은 사례를 더 많이 찾아내고 밑바닥에서 열심히 하면서 바꿔 나가는 분들을 더 도와주고 힘 나게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문체부가 만들고 있는 안무 저작권 지침과 관련해선 "저작권을 보호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게 원칙"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체부는 안무가 등 업계 의견 수렴을 통해 주요 쟁점 연구 용역을 거쳐 표준계약서를 제정하는 것을 연내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 장관은 "K팝에 들어간 춤이 유튜브에 올라가고, 안무가가 만든 춤이 세계에서 수익을 창출하니 (저작권) 개념이 다양해졌다"며 "표준계약서뿐 아니라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신탁단체도 있어야 하니 계속 의견 수렴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달 방탄소년단의 음원사재기 의혹을 조사해달라는 민원이 접수된 데 대해선 한국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센터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윤양수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현재 일어난 사안이 아니라 2017년 일"이라며 "민원이 제기돼 콘텐츠진흥원 센터가 조사하고 있다. 정확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니 조사가 끝나면 입장을 표명하든지 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공개된 광화문 현판/사진=연합뉴스


또한 유 장관은 경복궁의 광화문 현판 한글화 논의와 관련해서도 "한글날을 기점으로 뭔가 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세종대왕 동상이 (경복궁) 앞에 있는데 그 뒤에 한자로 쓰인 현판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유 장관은 사견을 전제로 "(지난해 10월 한자로 복원한) 현판이 조선시대부터 있던 것이면 보존하는 게 좋지만, 새로 만들어 단 것이니 고증으로 만든 것은 박물관에 전시하고 한글로 다시 거는 게 좋지 않을까"라며 "한글학회는 훈민정음해례본에 있는 글씨로 준비해놨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유산청과도 협의해야 하는데, 국민적인 논의는 괜찮지 않을까"라며 "국가유산 보존과 활용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조선시대부터 있던 건물은 사용 안 하고 쓸고 닦더라도, 복원해서 새로 지은 건물은 쓰는 게 낫지 않나. 가능하면 그렇게 했으면 좋겠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