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두 자릿수로 상승 폭 확대…매매가격도 ‘불안’

채명준 2024. 5. 23. 16: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이 두 자릿수로 확대되며 53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 내 정주 여건이 양호한 신축·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갱신계약이 이뤄지며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이 두 자릿수로 확대되며 53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세 사기 여파와 갱신 계약 등에 따른 서울 내 매물 부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이 23일 발표한 ‘5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7% 오르며 지난주(0.03%) 대비 상승 폭을 키웠다. 특히 수도권(0.08%→0.12%)과 서울(0.07%→0.10%)의 상승 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서울 시내 부동산에 부착된 전세 매물 안내문. 연합뉴스
서울의 경우 전셋값 상승세가 53주 연속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중구가 0.19%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대문구(0.18%), 동작구(0.18%), 서초구(0.17%), 성북구(0.17%)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내 정주 여건이 양호한 신축·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갱신계약이 이뤄지며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구축도 저가 매물이 소진되면서 전체 상승 폭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인천(0.22%), 경기도(0.11%) 등 수도권 핵심 지역도 상승전환 했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신축과 대단지 등 선호도가 높은 단지 위주로 갱신 계약이 이뤄지면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천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우수한 직주근접, 신축, 대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이 나타나며 상승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수도권 내 아파트의 전셋값 고공행진이 장기간 이어지며 전세난은 가중될 전망이다.  

지방도 0.02%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지난 1월 셋째 주 하락 전환한 이후 19주 만이다.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울산·대전)와 8개도도 각각 0.01%, 0.03%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세종(-0.04%)은 매물 적체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뉴시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1% 오르며 지난해 11월 넷째 주 이후 2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02% 오르며 4월 둘째 주(0.01%)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상승했으며, 지방은 보합(0.00%)을 기록하며 26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서울 아파트 가격의 상승 폭 확대와 지방의 보합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전국 매매가 상승전환을 가져왔다는 분석이다. 서울의 25개 자치구가 모두 보합 또는 상승한 가운데 성동구(0.19%)의 상승 폭이 큰 편이었다. 행당동과 옥수동의 중소형 규모 단지 위주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전세사기 여파로 인한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 등으로 전셋값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고, 이 영향과 더불어 분양가 급등, 수도권 내 아파트 공급부족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매매가까지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