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전야 같다”...4월 서울 아파트 전세거래 반토막, 강남·송파·광진 1억 넘게 올라

배윤경 매경닷컴 기자(bykj@mk.co.kr) 2024. 5. 23. 14: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거래 물량이 없어 전셋값이 오르면서 평균 전세 가격은 2000만원 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4월 5억589만원에서 지난달 5억2655만원으로 4.1% 뛰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0개 지역의 평균 전셋값이 상승한 가운데 강남구가 지난해 4월 7억2167만원에서 올해 4월 8억9553만원으로 1년만에 1억7386만원 올라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 = 이하린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거래 물량이 없어 전셋값이 오르면서 평균 전세 가격은 2000만원 가량 올랐다.

23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7729건으로, 지난해 4월(1만3892건)과 비교해 44.4% 급감했다.

같은 기간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4월 5억589만원에서 지난달 5억2655만원으로 4.1% 뛰었다. 전세를 구하려면 1년 전보다 2000만원 정도 더 필요한 셈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0개 지역의 평균 전셋값이 상승한 가운데 강남구가 지난해 4월 7억2167만원에서 올해 4월 8억9553만원으로 1년만에 1억7386만원 올라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어 서초구 1억7501만원(7억5683만원→9억3184만원), 광진구 1억4565만원(5억4089만원→6억8654만원), 송파구 1억76만원(5억7995만원→6억8071만원) 순이었다.

[자료 출처 = 스테이션3]
반면 구로구는 지난해 4월 3억6175만원에서 올해 4월 3억2357만원으로 평균 보증금이 3818만원 빠졌다.

은평구 2228만원(4억1162만원→3억8934만원), 양천구 1449만원(4억9541만원→4억8092만원), 종로구 950만원(5억8972만원→5억8022만원), 도봉구 837만원(2억8477만원→2억7640만원)도 각각 내렸다.

다방은 전셋값 상승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실장은 “연립·다세대 전세 기피 현상이 장기화되고 아파트 전세 매물이 꾸준히 줄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오는 7월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4년을 맞는 터라 4∼5월 비수기 이후에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장기화되고 심화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