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빛’ 지속 노출되면 “식욕 늘지만 살 안 찐다”…비만 치료 새 전략 국내서 찾았다

김태훈 기자 2024. 5. 23. 14: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외선의 새 기전 국내 연구진 최초 발견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식욕은 늘어도 체중 증가는 억제되는 기전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발견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과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정진호·이동훈 교수 연구팀(서울대 의대 전경령 박사, 의생명연구원 김은주 연구교수)은 만성 자외선 노출이 식욕 증가와 체중 감소 등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기전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진은 정상 식단과 고지방 식단을 각각 먹인 생쥐들을 자외선 노출 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같은 식단을 섭취했더라도 자외선 노출군은 피하지방에서 분비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발현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식욕이 활성화되면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음식을 먹었다. 그러나 식욕은 증가했음에도 자외선 노출군의 체중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가 나온 데 대해 자외선 노출군에게는 체내의 백색지방이 갈색지방처럼 변하는 ‘갈색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섭취 후 남는 에너지를 몸 안에 축적시키는 기능을 하는 백색지방과 달리 갈색지방은 열을 발생시키는 인자를 갖고 있어 에너지 소모를 유도한다. 백색지방이 자외선의 영향으로 갈색지방처럼 열 발생인자가 있는 형태로 바뀌었기 때문에 음식 섭취량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더 크게 증가한 것이다.

자외선 노출군은 대조군보다 음식 섭취량은 크게 늘었으나, 체중이 증가한 정도를 보면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울대병원 제공

또한 추가 분석 결과,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식욕 증가와 에너지 소모를 함께 촉진하는 매개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호르몬은 위험이나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서 분비돼 교감신경계에 작용한다. 자외선 노출군의 피부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증가해 있었으나, 이 호르몬이 합성되지 않도록 만든 생쥐는 그렇지 않은 생쥐보다 음식 섭취량이 줄고 체중은 증가해 자외선에 노출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진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발현을 촉진해 식욕·체중 등 에너지 대사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비만이나 대사질환을 관리·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정진호 교수는 “자외선의 대사조절 효과를 모방해 비만 및 대사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그러나 자외선은 피부암의 주된 위험요인이므로 가급적 노출을 피하고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해 피부를 보호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