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우` 우승하 작가, `2024 케이아트 라이징스타`展 최다 작품 공개

이상훈 2024. 5. 23. 14: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창적인 색감과 형이상학적 문양의 작품으로 주목받은 우승하 작가가 최근 막을 내린 '2024 케이아트 라이징스타(K-ART RISING STAR)'전에서 최대 규모의 전시회를 선보였다.

전시회를 주관한 미술기획사 '아트라포'의 박범진 대표는 "우 작가의 작품 중 아직 대중에 공개되지 않은 그림이 족히 수백 점에 달한다"며 "이 중에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화풍으로 묘사된 그림이 많아 미술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울증을 앓는 본인의 자회상 등 59개 작품 선보여… "어느 날 그림이 내게로 왔다"

독창적인 색감과 형이상학적 문양의 작품으로 주목받은 우승하 작가가 최근 막을 내린 '2024 케이아트 라이징스타(K-ART RISING STAR)'전에서 최대 규모의 전시회를 선보였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서울국제관광전과 함께 5월 9일부터 나흘 간 개최된 케이아트 라이징스타전은 신진 작가의 역량을 발굴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행사 기간 동안 우승하 작가는 참여 작가들 중 가장 많은 59개의 작품을 공개했다. 작품 중에는 우울증을 앓았던 본인의 모습을 그린 자화상을 비롯해 '만(卍)'자가 곳곳에 새겨진 그림, 지그재그 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화백을 빼곡히 채운 그림 등이 포함돼 있었다.

우승하 작가는 "내 작품 세계를 특정 범주로 한정 짓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렇게 하고 싶지도 않다"면서, "붓을 잡으면 내 자아는 지각의 영역을 벗어나 마치 붓에 의탁한 상태가 된다"면서 "때로 일주일만 지나도 작업실이 그림으로 숲을 이룰 때도 있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작품 활동을 시작한 지 불과 3년 사이에 800여 개의 작품을 그려냈다. 우 작가는 작품들 중 자주 반복 출몰하는 캐릭터에 '또우'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우 작가의 예명이 됐고 이제는 본명보다 더 유명해졌다.

우 작가는 그림을 전문적으로 배운 적은 없다고 한다. 그는 원래 부산에서 골동품상을 운영해 왔다. 그러다 2021년 코로나가 한창일 때 심한 우울증에 걸렸다.

우 작가는 "항우울제를 먹으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와중에 뭔가가 나를 이끈다는 이상한 느낌이 들었고, 그걸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붓이 손에 들려져 있었다"고 떠올렸다. 그가 환갑 즈음의 다소 늦은 나이에 '사장'이 아닌 '작가'로 불리게 된 계기다. 우 작가는 당시를 묘사하며 "어느 날 그림이 내게로 왔다"라고 말했다. 칠레 시인 파블로 네루다의 대표작 '시(詩)'의 구절이 오버랩된다.

이번 전시회에서 우 작가는 관람객 앞에서 즉석으로 그림에 덧칠을 하는 등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전시회 중앙에서 열린 재즈 연주 무대 위에 올라가 음악에 맞춰 붓을 놀리기도 했다. 우 작가는 "정규 교육과정을 밟은 정통 작가나 미술업계 관계자들은 내 행동을 두고 '괴짜'라거나 '이단'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면서 "하지만 이러한 행동도 내 정체성의 일부이기에 이를 부인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또 우 작가는 전시회 내내 현장을 지키며 관람객에게 먼저 다가가 그림을 설명하는 모습을 보였다. "작업실에 틀어박혀 캔버스와 소통만 하기보다는 사람들과 만나 내 열정을 증명해 보이고 싶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는 유튜브 채널 '우승하TV'를 통해 대중과의 접점을 넓히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 작가의 이번 전시회에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 등 저명인사가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전시회를 주관한 미술기획사 '아트라포'의 박범진 대표는 "우 작가의 작품 중 아직 대중에 공개되지 않은 그림이 족히 수백 점에 달한다"며 "이 중에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화풍으로 묘사된 그림이 많아 미술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am8523am@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