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은 동결·중량은 늘려…가격정책 역발상

한전진 2024. 5. 23. 13: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S25·CU 등, 도시락 제품 중량 지속 늘려
슈링크플레이션 비난 쇄도 따른 가성비 공략
간판 제품가↑·비인기 제품가↓로 가격인상 상쇄도

[이데일리 한전진 기자] 식품업계에서 가격은 유지면서 중량은 늘리는 ‘역(逆)슈링크플레이션’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슈링크플레이션’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꼼수로 인식되면서다. 이를 역이용해 가성비 상품이라는 인식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이를 이용한 ‘조삼모사’식 가격 인상도 나타나고 있다. 간판 제품의 가격은 올리면서 동시에 신제품이나 비주류 제품은 증량해 여론의 완충 효과를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가격 유지하면서 중량 늘리는 도시락·소주 제품 ‘인기’

23일 업계에 따르면 GS25의 지난 1~4월 출시한 도시락 제품 평균 중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늘어났다. 밥과 반찬이 각각 2.3%, 19% 늘었다. 대표 상품인 ‘김혜자 도시락’은 출시 1주년을 맞아 지난 3~4월 제품별로 순차적으로 양을 47% 늘린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GS25 관계자는 “단순히 싼 제품이 아니라 가격 대비 양도 많은 알찬 도시락들의 반응이 좋다”고 말했다.

CU 압도적 간편식 시리즈 (사진=CU)
CU는 역시 지난 2월 기존 대비 양을 20~30% 늘린 ‘압도적 간편식’ 시리즈를 선보였다. 이 시리즈는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50만개를 돌파했다. 현재 판매량은 500만개가 넘었다.

편의점 뿐만 아니라 식품업계 전반에 역슈링크플레이션은 대세 전략이다. 농심켈로그는 지난달 중순 컵 시리얼 4종 제품의 중량을 33.3% 늘렸다. 이 제품들은 1900원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중량이 30g에서 40g으로 늘어났다. 농심(004370)도 올해 초 저칼로리 용기면 ‘누들핏’의 신제품 ‘누들핏어묵탕맛’, ‘누들핏얼큰우동맛’의 중량을 5g늘렸다. 가격은 그대로 1800원이다.

선양소주도 최근 역슈링크 제품을 선보였다. GS리테일(007070)과 협업해 물가 안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640㎖ PET 제품을 3000원에 출시했다. 일반 판매가(3300원)보다 300원 저렴하다. 특히 이달 말까지 정가에서 추가로 200원을 할인해 2800원에 판매 중이다.

“가격 인상하지만 증량도…”완충 효과 노린 BBQ·더본코리아

변칙적인 가격인상 방식을 채택한 기업들도 눈에 띈다. 주력 제품의 가격을 올리는 대신 다른 제품을 증량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가격 인상을 진행하면 강한 여론의 반발을 맞닥뜨려야 하기 때문에 증량도 병행하면서 상쇄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황금올리브 치킨 (사진=BBQ)
BBQ는 오는 31일부터 총 110개 판매 제품 가운데 23개 제품의 소비자 권장 판매 가격을 평균 6.3% 인상할 예정이다. 인기 메뉴인 황금올리브치킨의 가격을 2만원에서 2만3000원으로 올린다. 황금올리브치킨콤보는 2만4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인상한다. 자메이카 통다리구이 역시 2만15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BBQ는 가격 인상과 함께 증량도 동시에 진행했다. 56개 제품 가격은 동결, 31개 제품에 대해서는 증량을 통해 가격인하 효과를 줬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대표적으로 ‘깐풍치킨’, ‘극한왕갈비치킨’ 등 6종은 가격 변동 없이 닭다리를 1개 추가했다. 가격을 올린 품목도 일부 증량한다. 예컨데 황금올리브치킨콤보는 닭 다리 수는 5개로 1개 늘어난다.

백종원 대표가 운영하는 더본코리아의 ‘한신포차’도 비슷한 사례다. 지난달 30일 대표 메뉴 가격은 올리면서 신제품 메뉴는 가격을 인하했다.

‘직화튤립닭발’이 1만7000원서 1만8000원으로 1000원 오르고 ‘먹태구이’가 1만4000원에서 1만5000으로 올랐다. ‘파인애플샤베트’와 ‘치즈듬뿍계란말이’도 각각 2000원이 올랐다. 브랜드 개편 과정에서 품질 개선을 위해 가격을 올렸다는 게 더본코리아의 설명이다. 아울러 신규 추가되는 26종 메뉴는 평균 가격을 1.5% 낮췄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인기 메뉴의 가격은 올려 이익률을 개선하고 신제품은 가격을 인하해 주문을 늘리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 인상이 소비자 사이에서 민감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증량도 진행해 여론의 눈치를 살핀 모양새”라며 “정부에서도 눈여겨보고 있는 만큼 상당한 계산이 있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소비자 입장에선 조삼모사인 셈”이라고 분석했다.

한전진 (noretur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